4월27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손을 맞잡고 군사분계선을 함께 넘고 있다. 판문점/사진공동취재단
한-미 정상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긍정적 작용” 공감
대북 제재 완화 유지 속에 김 위원장 답방 결단 주목
대북 제재 완화 유지 속에 김 위원장 답방 결단 주목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각)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긍정적인 인식을 확인함에 따라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탄력을 받게 됐다.
두 정상은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공동의 노력에 추가적인 모멘텀(계기)을 제공하고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남북 정상은 9·19 평양 공동선언 6항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합의했고, 문 대통령은 당시 “특별한 일이 없으면 올해 안”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전제로 준비를 해왔다. 정치권 관계자는 <한겨레>에 “정부에서 서울 남산타워 쪽에 12월13일과 14일 예약을 받지 말아 달라고 하는 등 구체적 조처를 취했던 것으로 안다”며 “남산타워에서 서울이 한눈에 내려다보이기 때문에 (두 정상이) 밤에 방문해서 서울을 함께 내려다보는 일정을 대비한 것”이라고 전했다.
관심은 과연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 결단을 내릴 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긍정적 발언으로 우리 정부는 홀가분하게 김 위원장의 답방에 전념할 수 있게 됐다. 관건은 북한이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실현 가능성에 신중한 태도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우리는 지금까지 일관적으로 (9·19 평양 공동선언을 이행하려고)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추진하고 준비해왔고 북쪽에도 이런 메시지를 보내왔다”면서 “다만, 어떤 시점에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을 할 지를 결정하는 최종 판단의 주체는 북쪽이기 때문에 유동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남북정상회담은 누구의 승인하고 관계없이 저희가 주체적으로 했던 것”이라면서 “북쪽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보다 북-미 정상회담을 먼저 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김 위원장의 경호 문제 등도 생각해야하기 때문에 북한이 자신들의 스케줄에 결정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이 ‘남북 스케줄에 따라 김 위원장 답방을 추진하라’는 긍정적인 사인을 보냈지만, 이와는 별개로 북한의 정무적인 판단이라는 문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미 정상이 대북 제재 현상 유지를 언급한 부분은 주목할 부분이다. 한-미 정상은 회담 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은 풍계리·동창리·영변 등 3대 핵시설 사찰과 폐기 약속과 실천에 따른 미국의 제재 완화와 종전 선언 등 가시적인 상응조치를 요구해왔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에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달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던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북-미 고위급 회담이 무산되고, 현재까지 진전이 없는 것도 이 지점에서 북-미 간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으로서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자신들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제재 완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에 관한 약속이 없는 상태에서 북-미 2차 정상회담에 앞선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을 결심할 지 판단을 해야하는 셈이다.
결국 김 위원장의 답방에 다시 한번 문 대통령의 중재자 구실이 주목 받을 수밖에 없다.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를 들고 4일 귀국하는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나눈 대화를 여러 경로를 통해 북쪽에 전달하면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부에노스아이레스/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각)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코스타 살게로 회의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기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