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시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9일 “충분히 메시지를 전했고 북쪽의 판단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달 중순께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을 제기한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부인하면서, 북쪽이 답방에 관한 의사 결정을 내리지 않은 단계인 것 것 같다고 분석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지금까지 진척된 상황이 없고 발표할 것도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일 순방중 언론 간담회를 한) 기내에서 연말연초 언급했다. 우리는 언제가 될지 모르니 준비하는 차원이지 어떤 시점이 정해져서 거기에 맞춰서 준비하는 게 아니다”라며 “북쪽에 충분한 메시지가 가 있는 상황이고 답방한다면 여러가지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아서 북쪽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언론이 김 위원장이 14일 안팎 또는 18일께 답방할 것이라는 보도에 대해서는, 남북 당국은 아직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를 확정짓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준비해야 할 사안은 준비하겠지만, 시점이 언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거나 못 박을 사안은 아니다”라며 “언론에서도 이 부분은 담담하고 냉정하게 기다리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남북관계에서 이뤄지는 일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 결정이다. 북쪽에서 오겠다는 메시지가 오는 게 첫번째 단계”라며 “아직 그 의사 결정 자체가 안 정해진 상황에서 (답방) 날짜를 언급하는 것은…(성급하다)”고 덧붙였다. 남북 관계의 특수한 사정을 고려해 김 위원장의 답방 날짜를 정해놓고도 이를 알리지 않거나, 답방 준비를 하고 있으면서도 보안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경호와 의전 등 사전 준비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김 위원장의 ‘당일치기 방문’ 가능성도 나왔으나, 청와대는 이런 관측도 부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상간 만남의 정례화를 넘어 일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니 복잡한 절차 없이 편하게 오고가는 시기가 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이번은 김정은 위원장의 첫번째 서울 방문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하면 북쪽이 그런 결정을 할 것 같지는 않다”고 내다봤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