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2019 여성가족부 업무보고’에 앞서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사회적 이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은 존중해야 마땅하지만 극단적인 대립이나 혐오 양상으로 표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각종 혐오 현상 확대를 경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여성가족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특별히 당부하고 싶은 것은 포용적 접근과 자세다. 나와 너, 피해자와 가해자를 단순히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접근은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성희롱, 성폭력, 디지털범죄, 가정폭력, 데이트폭력 등은 다른 사람의 인격과 삶을 파괴하는 범죄”라면서 “가정과 직장, 다중이용시설, 또 사이버 공간에서 폭력과 혐오가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청소년 사건도 끊이지 않고 있어서 많은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다. 일상 속 모든 공간에서 누구나 안전하고 마음 편하게 지낼 수 있도록 현장을 더욱 꼼꼼히 살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사회가 얼마나 강하고 성숙한 지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정도로 가늠할 수 있다”면서 “내가 속한 공동체는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다는 확고한 신뢰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여성, 청소년, 다문화 가족, 한부모 가족 등 구조적 차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해서는 국가가 더욱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업무보고 뒤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를 찾아 직원들을 격려한 자리에서는 “한부모 가족, 미혼모, 다문화 가족 이런 분들이 구조적으로 사회에서 차별을 받기가 쉽기 때문에 국가가 더 각별하게 노력을 기울여야 우리가 포용국가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정부의 출산 지원에 관해서도 “모든 출산이 다 축복받고, 지원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부분을 해결 못 하면서 저출산 대책을 말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가족직원과 공무원들은 문 대통령의 캐리커처와 저서 <운명> 등에 사인을 받기도 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