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활력 중소기업, 함께 잘사는 나라’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중소·벤처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 비서실장 교체 등 ‘2기 청와대’ 인선을 마무리한 뒤, 개각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둔 정치인 출신 장관들과 문재인 정부 출범부터 함께한 장관 일부가 교체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시기는 유동적이지만, 대통령 비서실 개편이 빨라지면서 개각 역시 설 전후로 앞당겨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청와대 개편을 앞당긴 것을 보면 분위기 쇄신 차원의 개각도 설 연휴(2월2~6일) 전인 1월 말이나 2월 초에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대한 빨리 ‘2기 청와대·내각’ 구성을 마무리해, 실질적인 성과 도출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그동안 ‘중폭 개각’을 염두에 두고 개각 준비를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내년 총선에 출마할 장관들과 20개월 가까이 일한 초대 장관들은 모두 개각 대상이라고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김부겸(행정안전)·도종환(문화체육관광)·김현미(국토교통)·김영춘(해양수산) 장관 등은 정부 출범 당시 임명된 초대 장관이자 현역 국회의원이어서 교체가 유력하다. 통일·외교·안보 부처 가운데, 지난해 9월 임명된 정경두 국방부 장관을 제외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교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포함한 4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있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장관들은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만큼, 인사 검증 결과에 따라 개각 시기가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금은 개각을 어느 정도 폭으로 하는 게 적당한지, 어느 장관을 교체할지를 검토하는 단계”라며 “후임 후보군을 추리거나 인사 검증에 들어간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9월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정경두(국방)·이재갑(고용노동)·성윤모(산업통상자원) 장관 임명 당시에는 검증에만 두달가량 걸렸다고 한다. 총선을 한 해 앞두고 이뤄지는 개각인 만큼, 정치인 입각 폭이 제한돼 있어 장관 후보자를 물색하는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