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8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현장에서 답을 찾고, 국민과의 소통과 홍보를 강화하라”며 ‘현장과 소통’을 화두로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가짜뉴스에 대한 단호한 초기대응도 주문하면서 부처별로 소통·홍보 전담 창구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 국무회의에서 “부처 장관들은 자신과 부처의 이름을 내건 브랜드 정책을 책임 있게 추진해서 국민께 성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강조할 점은 보고서상의 성과가 아니라 국민이 경제활동 속에서 일상의 삶 속에서 체감하고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성과가 되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 현장에서 답을 찾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1기 경제팀은 무엇을 할 것인가를 설정했고, 2기 경제팀은 어떻게 할 것인가에 집중해야 한다”며 “그 방법 역시 부처 내 보고서에만 있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국민의 삶 속에 현장 실무자들의 땀 속에 정부의 도움을 호소하는 청년 창업자의 구겨진 수첩 속에 숨어 있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들의 목소리를 피붙이의 하소연인 양 경청해 주시길 바란다”며 “정책마다 이해 집단의 목소리가 어떻게 다른지 반드시 확인하고 어떻게 다른 입장을 조정할 수 있는지 현장에서 방안을 찾아주기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도 강조했다. 그는 “한 가지 더 특별히 당부드릴 것은 국민과의 소통과 홍보”라며 “업무를 열심히 하고 묵묵히 실적을 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반드시 국민 눈높이에서 편익을 설명하고 성과를 홍보하여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는 데 못지않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여당 지도부 초청 오찬에서도 국정 홍보와 소통에 관한 아쉬움을 내비친 적이 있다. 문 대통령은 당시 “안타까운 것은 성과가 있어도 우리 사회에 ‘경제 실패’ 프레임이 워낙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어서 그 성과가 국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취사선택해서 보도하고 싶은 것만 부정적으로 보도되는 상황이 너무도 안타깝다. 앞으로 당·정·청 모두 국민이 느낄 수 있도록 소통을 대폭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사실을 왜곡하는 가짜뉴스에는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정부의 정책을 부당하게 사실과 다르게 왜곡하고 폄훼하는 가짜뉴스 등의 허위정보가 제기됐을 때는 초기부터 국민께 적극적으로 설명해 오해를 풀어야 한다”며 “가짜뉴스를 지속해서 조직적으로 유통하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단호한 의지로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짜뉴스 등의 허위조작정보는 선정성 때문에 유통 속도가 더욱 빨라 초기대응 속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특히 유념해주기 바란다”며 “부처별로 전문성이 있는 소통, 홍보 전담창구를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국무회의에서도 “허위조작정보는 보호받아야 할 영역이 아니다”며 “허위조작정보에는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인 시정 조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중심이 돼 마련한 ‘범정부 허위조작정보 근절 대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보완 지시를 내린 바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