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를 일러야 3월 말께로 보고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하순께로 예상되는 2차 북-미 정상회담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 경제협력 등에서 내실 있는 서울 남북 정상회담을 꾀하겠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2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예상대로 2월 말쯤 열릴 경우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일러야 3월 말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순조롭게 정상회담을 마친다면 대북 제재가 일정 부분 완화 또는 해제될 가능성이 크다”며 “북-미 정상회담 합의를 바탕으로 남과 북이 경제 분야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어떤 협력, 교류 사업을 할 수 있을지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회담 준비를 하는 데 실무기간이 최소한 한달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과정에서 미국 쪽과 남북 경협 사업 등이 유엔이나 미국의 제재와 충돌하는 부분은 없는지, 어떤 부분은 제재를 우회해서 추진할 수 있는지 등도 세밀하게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8일 오전 평양 시내를 카퍼레이드 하며 평양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김 위원장의 첫 서울 방문이라는 형식에 걸맞게 남북 양쪽이 모두 체감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철저한 실무 준비를 하겠다는 것이다.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이미 세차례나 남북 정상회담을 했기 때문에 김 위원장 경호나 의전 등의 준비는 특별히 어려운 것이 없다”면서도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북-미 정상회담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느냐다. 남북 정상회담 준비는 그 뒤에야 시작된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남북 경협은 남북의 이해가 공통되는 부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새해 기자간담회에서 “남북 경협은 우리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획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이는 우리에게만 있는 기회이고,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예비된 축복”이라고 말한 바 있다. 북한도 김 위원장의 신년사 등에서 지속해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강조하며 제재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노영민 비서실장 주재로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회 3차 회의를 열어 2차 북-미 정상회담 추진 동향과 대응 방안, 올해 남북공동선언 이행 추진 방향, 3·1운동 100돌 남북공동기념사업추진 현황 등을 점검했다. 이행추진위원장으로 처음 회의를 주재한 노 실장은 “지난해 남북 군사 간 상호적대행위 중지,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과, 휴전선 감시 초소(GP) 시범 철수 등으로 정치 군사적 긴장이 획기적으로 완화하고 튼튼한 한반도 평화 토대가 구축됐다”면서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극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