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총리실·감사원 등 공직감찰 기관과 협조·공조”
조국 민정수석 “비리 무관용 원칙으로 공직 기강 확실히 세울 것”
조국 민정수석 “비리 무관용 원칙으로 공직 기강 확실히 세울 것”
문재인 정부가 출범 3년 차를 맞아 공직기강을 다잡으려고 공직기강 협의체를 꾸렸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22일 낸 자료에서 “정부 출범 3년 차를 맞이하면서 음주운전, 골프 접대 등 공직 사회 전반에 걸쳐 기강 해이가 심화하고 있다는 비판이 언론 등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런 공직기강 해이가 공직 사회의 부정부패, 무사안일로 이어진다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정책과 사업 추동력이 크게 약화할 우려가 있다”며 “민정수석실은 공직 사회의 기강 이완 확산을 차단하고 국정 동력을 강화하려 국무총리실과 감사원 등 공직감찰 핵심 기관과 견고한 협조, 공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공직기강 협의체를 결성했다”고 밝혔다.
공직기강 협의체는 지난 21일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주재로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 감사원 특별조사국장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최근 공직감찰 동향과 각 기관의 연말연시 공직기강 특별 점검 결과를 논의하고 역할 분담을 통해 연중 공직기강 점검, 암행감찰, 기획감찰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총리실은 중앙 부처의 자체 감사부서와 합동 또는 단독으로 복무 상황, 근무 태도를 상시 점검하고, 명절 등 취약시기에는 특별 점검을 벌이기로 했다. 감사원은 음주운전과 골프 접대, 보안 사고, 성비위 등에 관해 집중 점검을 벌이고 채용비리와 갑질 행태 등은 기획 감찰을 실시하기로 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감찰반도 대통령이 임명하는 공직자를 대상으로 뇌물수수, 기밀누설, 예산 횡령, 성비위 등을 집중 감찰하기로 했다. 공직기강 협의체는 앞으로 분기별로 정기 회의와 함께 특정 현안이 발생하면 수시 회의도 열기로 했다. 조 수석은 “적발된 중대 비리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히 책임을 물어 공직사회에 긴장감을 주고 기강을 확실히 세우겠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집권 3년 차를 맞아 공직 기강이 해이해졌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며 “마침 설도 있고, 공직 감찰관실 역시 설 전에 새로 꾸려지는 만큼 공직감찰 핵심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협업해 할 일을 하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