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양대 노총 위원장과 만나 “사회적 대화와 합의를 통해 노동권 개선을 이루자”고 당부했다. 민주노총에는 사회적 대타협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부탁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노동권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경사노위라는 틀이 제도적으로 마련돼 있으니 이 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저임금, 노동시간, 노동안전 등에서 노동권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 인식이지만, 그렇다고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할 수는 없다”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28일 정기 대의원대회를 앞둔 민주노총에 거듭 참여를 채근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민주노총이 불참한 가운데 열린 경사노위 출범식 때 “민주노총이 이른 시일 내에 참여해 주길 희망한다. 민주노총의 참여야말로 노동계에 큰 힘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탄력근로제 확대 등에 반대하며 경사노위에 참여하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노동계와도 활발하게 소통과 대화를 하겠다고 했다. 그는 “국민의 바람은 정부가 정책기조를 일방적으로 끌고 가지 말고 다양한 경제 주체들의 의견을 경청하라는 것”이라며 “새해 들어 중소·벤처·대·중견 기업의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면서 “노동계와도 대화를 할 생각이다. 오늘 이 자리는 노동계와 대화를 사전에 논의하기 위한 자리”라고 말했다.
이에 두 위원장은 문 대통령에게 고 김용균 씨 사망 사건 진상규명과 비정규직 문제 해결 등 노동계 현안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 대변인은 “두 위원장이 고 김용균 씨의 장례를 설 전에 치를 수 있도록 진상규명과 정규직 전환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달라고 요청했다”며 “△탄력 근로제 기간확대 방지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제주 영리병원 민영화 중단을 비롯해 카풀 문제 등 여러 노동계 현안의 해결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날 면담은 문 대통령과 양대 노총 위원장, 김수현 정책실장, 정태호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20분 동안 열렸다. 김 대변인은 “노동계 입장 청취를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대화를 통한 해결을 당부하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양대 노총 위원장을 함께 만난 것은 취임 뒤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임시정부 수입 100돌 기념사업추진회 행사가 열린 옛 서울역사에 두 위원장을 만나 사회적 대화 참여를 촉구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