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서 종전선언 가시화
“정부, 어떤 형식의 종전선언이라도 환영 ”
“비핵화 순조롭게 하고 가속하게 할 것”
“정부, 어떤 형식의 종전선언이라도 환영 ”
“비핵화 순조롭게 하고 가속하게 할 것”
청와대가 25일 제2차 북-미 정상회담(베트남 하노이·27~28일)에서 “북-미 사이에 얼마든지 종전선언이 합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종전선언의 형태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지만 북-미 사이에 얼마든지 종전선언이 합의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종전선언은 평화협정과 달리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기 위한 본질적인 의미가 있다”며 “남북미중 4자, 남북미 3자, 북미 2자 등 여러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어떤 형식의 종전선언이라도 우리 정부는 환영이다. 북-미 만의 종전선언도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와 중국은 이미 수교를 했고, 미국과 중국도 1979년, 40년 전에 수교했다. 또 우리와 북한은 두 번의 정상회담과 9·19 군사합의를 통해서 사실상 종전선언과 불가침 선언을 했다”며 “남은 건 북-미로, 북-미가 종전선언을 하면 실효적인 의미가 달성된다는 취지의 말씀을 제가 지난 2월에 드린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 미국이 종전선언을 한다면 그걸로 한반도를 둘러싼 전쟁을 치른 경험이 있는 4개 나라의 종전선언은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더 중요한 건 그런 종전선언을 통해서 북 비핵화를 순조롭게 끌어내고 비핵화 속도를 가속화하는 것”이라며 “물론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이며 (향후) 평화협정은 다자간의 평화체제를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평화협정에는 다자가 참석해야 한다는 게 우리 정부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종선 선언은 평화체제로 가기 위한 입구 같은 그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평화협정은 상당히 복잡하고 구조적인 조항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그것은 비핵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화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한겨레> 자료사진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