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볼턴, 펜스 접견하고 비핵화 동력유지 당부
펜스 부통령 “북미 대화 문 열려 있으며, 재개 희망적”
폼페이오, 볼턴 “여러 수준에서 다각적으로 북한과 대화 진행”
펜스 부통령 “북미 대화 문 열려 있으며, 재개 희망적”
폼페이오, 볼턴 “여러 수준에서 다각적으로 북한과 대화 진행”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각)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차례로 만나 톱 다운 방식을 통한 북-미 대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면서 조기 북미 대화 재개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숙소인 영빈관에서 오전 9시부터 50분 동안 두 사람을 만나 “북-미간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고 톱 다운 방식으로 성과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실제로 그것이 가능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고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이에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은 “북한과 대화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라며 “여러 수준에서 다각적인 대북 대화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이들에게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위대한 여정에서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노고와 기여를 높이 평가한다”며 북핵 문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현안에 우리 측 카운터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는 점에 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또 최근 한반도 정세와 향후 북미간 대화를 견인하기 위한 우리 측 노력을 설명하고,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으로부터 하노이 정상회담의 미국 측 평가와 향후 대응방안을 청취했다.
문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과 볼턴 보좌관의 공헌으로 한-미 동맹이 더욱 견실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계속 한국 측 상대들과 긴밀히 공조, 협의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접견에는 우리 쪽에서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조윤제 주미국대사, 김현종 안보실 2차장, 윤도한 국민소통수석, 최종건 안보실 평화기획비서관이 배석했고, 미국 쪽에서는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매튜 포틴저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앨리슨 후커 NSC 한국담당 보좌관,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참석했다. 애초 미국에서는 믹 멀베이니 비서실장 대행이 참석하려 했지만 그 자리에 포틴저 보좌관이 대신 참석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오전 10시36분부터 11시20분까지 펜스 부통령과 접견했다. 문 대통령은 “작년 2월 펜스 부통령이 단장으로 참석한 평창 겨울 올림픽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이룩할 수 있는 여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며 “하노이 정상회담은 비핵화를 위한 과정의 일부이며 하노이 동력을 유지해 조기에 북-미 대화가 재개되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체계 구축을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일을 다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한미 간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펜스 부통령은 “미국은 긍정적인 자세를 견지하면서 대화의 문이 열려있다”며 “북-미 대화 재개는 희망적”이라고 말햇따.
우리 쪽에서는 강경화 장관과 정의용 실장, 조윤제 대사, 김현종 차장, 윤도한 수석, 최종건 비서관이 참석했다. 미국 측에서는 키스 켈로그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니콜라스 스나이더 부통령 아시아담당 보좌관, 해리스 대사, 포틴저 선임보좌관, 후커 선임보좌관 등이 배석했다.
워싱턴/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현지시각) 워싱턴 영빈관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를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