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열린 일자리 수석 간담회에서 정태호 수석이 최근 고용동향과 정책방향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19일 “올해 고용 상황이 지난해보다는 나아지고 있다”며 올해 취업자 수가 20만명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의 좋지 않은 고용지표를 두고선 “제조업·서비스업의 급격한 구조조정 때문”이라며 “자동차·조선업 시장이 좋아지면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수석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2018년 취업자 증가 수치는 (월평균) 9만7천명이었는데 올해 들어서는 2월 26만여명, 3월 25만여명, 4월 17만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내 주요기관들이 예측한 올해 (월별 취업자 증가) 숫자 7만~15만 정도를 뛰어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하반기로 갈수록 고용 상황은 개선될 것이라는 점에서 올해 취업자 증가 수는 20만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측한다”고 말했다.
기자들이 ‘고용지표 개선은 지난해 고용이 워낙 좋지 않았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 아니냐’고 지적하자 청와대 관계자는 “기저효과도 있겠지만 신산업·신기술 분야와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지속해서 일자리가 늘어나는 점을 고려하면 정책효과도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수석은 정보통신 등 신산업과 사회서비스업 분야가 고용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보통신과 과학기술 두 분야를 합해서 10만명 이상 취업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꾸준히 보여준다”며 “복지분야 취업자 수 증가폭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평균 15만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제2벤처 붐 조성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의 결과 신설법인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며 최근의 고용 증가는 정부 정책 성과에 따른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지난해 취업자 감소의 주요 원인이던 자동차와 조선업 분야도 일자리 상황이 나아지고 있지만, 자영업 쪽은 여전히 어렵다고 진단했다. 정 수석은 “산업 구조조정 탓에 자영업과 제조업 취업자 감소 현상이 전체 고용상황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고 있다. 향후 일자리 정책의 핵심 방향은 이런 점을 고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달 11.5%로 2004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갈아치운 청년 실업률에 관해서는 “개선되고 있다”며 통계와는 동떨어진 답을 했다.
한편, 정 수석은 “제2, 제3의 광주형 일자리, 상생형 지역 일자리를 확산시킬 것”이라며 “여러 지자체에서 상생형 일자리를 위해 엄청 노력하고 있어 6월 이전에 한두 곳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