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위한 국제 협력 방안에 초점 맞춰
“부시정부가 햇볕정책 걸림돌” 미 정책 비판도
“부시정부가 햇볕정책 걸림돌” 미 정책 비판도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 정상회의에 참석한 수상자와 국제기구 대표들이 세계평화의 공통과제인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16~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4층 컨벤션홀에서 열리는 국제학술회의는 ‘5·18민주화운동과 한반도 평화’라는 큰 주제 아래 수상자와 발제자의 국적·지역·활동분야 등을 고려해 4개 소주제로 나뉘어 펼쳐졌다. 이번 회의는 특히 20세기 냉전체제의 그림자가 여전히 드리워진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과 남북교류의 진전에 초점을 맞췄다.
쉘 마그네 분데빅 전 노르웨이 총리는 ‘분단국가:세계 공통의 미래’라는 발제를 통해 북한의 인권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평화와 화해를 위해서는 두 나라 정부와 국민의 신뢰가 필요하며, 세계적인 협력이 뒤따라야 한다”며 “2000년 남북정상회담은 큰 성과를 거뒀지만, 한반도는 아직 분단상태이며 북한 주민의 인권은 심각하게 침해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메리 엘런 맥니쉬 미국 퀘이커봉사위원회 사무총장은 미국의 정책에 비판적이었다. 그는 “미국의 정책은 1945년 냉전 때처럼 한반도의 상황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미국의 부시 행정부가 한국의 햇볕정책을 약화시키고 북한의 국가적 고립을 조장하고 있는 만큼 세계 평화기구와 지도자들이 미국의 정책을 바꾸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평화와 직결된 최대현안은 역시 핵문제였다. 도이 다카코 전 일본 중의원 의장은 “미국·중국·러시아 등 핵 대국이 서로 대치 중인 동아시아를 전쟁이 없는 지대로 만들려면 한반도·일본·대만이 비핵을 선언하고 동북아시아 전역으로 비핵지대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직접 참석하지 못한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은 영상메시지로 포괄적 해결방안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그는 “북핵문제는 단편적인 해결책보다 포괄적인 해결책으로 접근해야 하며, 6자회담을 통해 북한의 우려를 해소하고 국제사회의 불안감을 완화하는 포괄적 해결방안을 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친서를 통해 “북한의 핵프로그램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정착을 방해하는 가장 심각한 장애물”이라며 “북핵문제를 무력적 방법이 아닌 평화적 방법으로 조정하고 해결하려는 한국 정부의 포용정책을 지지한다”고 전했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도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둘러싼 반목과 갈등은 한반도 분단이 동아시아와 세계에 제기하는 위협을 단적으로 보여준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보내왔다.
이날 회의는 영어·러시아어·일본어·이란어 등 4개 국어로 동시통역됐다. 다만, 국가 정상급 수상자들의 의전과 경호를 위해 사전에 등록하지 않은 일반인의 방청을 허용하지 않은 탓에 방청객이 200여명 안팎에 그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