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최는 합의…여론 눈치
안보리 결의안 뒤 각국 움직임
남북이 ‘자주·평화·민족대단합을 위한 8·15통일대축전’ 행사를 다음달 14일에서 16일까지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제19차 남북장관급 회담의 조기 종결 여파로 민간부문 접촉마저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는 17일 “지난 15일부터 이틀동안 금강산에서 실무협의를 열어 8·15통일 대축전 개최 시기를 결정했다”며 “남쪽 (민간) 방문단 200명이 서해 직항로로 방북해 축전 기간 〈아리랑〉 공연을 관람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남쪽 당국 대표단의 참석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원래 예정대로라면 당연히 당국 대표단도 함께 가는 것이다. 정부 당국 대표단의 참석 여부와 관련해, 남측위 관계자는 “당국 대표단을 200명에 포함할지, 별도로 추가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한발 빼는 자세를 보였다. 이 당국자는 “당국 대표단 참석 문제는 아직 아무 것도 정해진 게 없다”며 “8·15행사가 한 달 정도 남아있기 때문에 아직 정부 방침을 결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남북관계 모멘텀을 계속 유지해 나가야 할 필요성과, 미사일 발사 이후 나빠진 여론 속에서 참석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자세에 대해선 ‘눈치보기’라는 비판도 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