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의 싱크탱크 채텀하우스를 방문한 한성렬 북한 군축평화연구소 대리소장. 런던/연합뉴스
런던 채텀하우스 강연서 이례적 명시
“2·13 합의 이행 미 경제제재 풀려야”
“2·13 합의 이행 미 경제제재 풀려야”
한성렬(53) 북한 군축평화연구소 대리소장은 4일(현지시각) ‘한반도 비핵화는 오직 미군 철수 등을 통한 미국의 적대적 조처 중지와 북-미의 핵 폐기를 위한 동시적 조처 이행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 대리소장의 발언은 북핵 6자회담과 한반도 평화포럼 전개 과정에서 북한이 궁극적인 핵 폐기의 조건으로 주한미군 철수를 내걸고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 대리소장은 외무성 북미국 부국장과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를 지낸 미국통이다.
그는 이날 영국 런던의 싱크탱크인 채텀하우스에서 ‘북핵문제 및 6자회담’,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안전문제’를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6자회담의 성패는 미국이 비핵화 및 북-미 관계 개선에 대한 진정한 의도를 갖고 있는지에 달렸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강연에는 각국 외교단과 인권단체, 기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한겨레>는 강연에 참석한 한 외교소식통을 통해 내용을 확인했다.
한 대리소장은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갈등구조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조처로 △한반도 분단구조 해체 △미국 군사 헤게모니 전략의 평화 전략으로의 변경 △북-미, 북-일 사이 적대 구조 청산 △정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 등 4가지를 제시했다. 한반도 분단 종식을 위해서는 한-미 연합 군사작전의 중지와 궁극적으로는 주한미군 철수 등을 통해 한반도 내 외세의 간섭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체제 문제와 관련해, 북-미가 평화협정의 당사자가 돼야 한다는 북한의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과거 4자회담 등 평화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시도들이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으로 계속 무산돼온 만큼, 정전협정 당사자인 북-미가 모든 군사·정치적 이슈들을 직접 포괄적으로 다뤄야 해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대리소장은 이날 강연과 별도로 런던 주재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단순히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동결자금만 해제됐을 뿐 아직 미국의 경제제재가 완전히 풀리지는 않았다”며 “2·13 합의 이행을 위해서는 경제제재가 다 해결되고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빠져야 하며, 미국이 의무사항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차기 6자회담과 2·13 합의 이행 전망에 대해선 “잘 되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