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기자들이 2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프레스센터에 마련된 대형 모니터를 통해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만나는 장면을 보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주요국·외신 반응
미 “6자회담 내용 안바뀔 것” 신중…일, 납치문제 진전 ‘기대’
중 CCTV, 분계선 넘는 장면 생중계…러TV “평화분위기 조성” 세계의 눈이 한반도로 쏠렸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각국은 노무현 대통령의 방북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미국은 남북 정상회담이 북한의 비핵화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반면 일본은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가 다뤄지길 기대했다. ■ 미·일 정부의 반응=미국 백악관은 2일(현지 시각) 노무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을 지지하며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는 데 진전을 이루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언제나 남북 간 대화를 지지해왔다며 “우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도출될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번 회담이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비핵화로 진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납치문제가 진전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 대변인 마치무라 노부타카 관방장관은 2일 기자회견에서 “동북아시아의 긴장완화라는 의미에서도 남북회담에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며 “납치문제에 대해서도 노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언급하겠다는 말씀이 있었으므로 이 점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로서는 기대하는 바”라고 말했다. 그러나 집권여당인 자민당의 이부키 분메이 간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납치문제에 대해 확실하게 주장하길 바란다”고 주문하고 “어떤 것을 주고받는지 외교상의 대차대조표를 한국 국민들도 바라보고 있다”고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중국은 1일부터 국경절 연휴가 시작된 탓인지 공식반응이 나오지 않았다. ■ 외신 보도=미국 <시엔엔>은 “사흘간의 정상회담이 불가사의하고 권위주의적인 김정일 위원장이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래 처음으로 광범위하게 모습을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회담이 북한이 로드맵에 대한 답을 내놓게 되는 비핵화 협상 시점에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레임덕 노 대통령이 지난해 핵실험을 하고 올해엔 간헐적으로 평화의 신호를 보내는 예측할 수 없는 북한 지도자 김정일과 정상회담을 위해 북한에 갔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국의 대통령선거를 두 달 앞둔 시점 때문에 정상회담의 동기에 대해 남한과 미국의 보수파들로 냉소적 반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보수적인 <월스트리트저널>은 “1년 전 국제사회에 맞서 핵실험을 경고했지만, 지금은 (2005년 후진타오 중국 주석의 방북 이래) 2년 만에 외국지도자를 영접하면서 좀더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며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지도자의 의도가 드러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이 서울과 평양발 속보로 전하는 등 중국 언론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신화통신>은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이란 제목의 ‘초점란’을 만들어 2000년 제1차 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 발전을 보여주는 각종 자료까지 소개했다. <중앙텔레비전>(CCTV)도 노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는 장면을 생중계했다. 낮 12시에 방영하는 ‘뉴스30’에선 국제 관련 8개 뉴스 가운데 4개를 남북 정상회담 관련 기사와 해설로 채웠다.
일본 신문들은 석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노무현 대통령을 마중 나온 사진과 함께 1면 머리기사로 크게 보도했다. <엔에이치케이>(NHK)와 민방 <티비에스>(TBS)는 남북 정상이 만나는 장면을 생중계했다.
러시아 국영 텔레비전 <채널 1>은 이날 오전 뉴스를 통해 “한국의 대통령이 북한의 지도자를 만나기 위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통과했고, 이는 남북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직접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도쿄 베이징/류재훈 김도형 유강문 특파원, 박병수 기자 hoonie@hani.co.kr
중 CCTV, 분계선 넘는 장면 생중계…러TV “평화분위기 조성” 세계의 눈이 한반도로 쏠렸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각국은 노무현 대통령의 방북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미국은 남북 정상회담이 북한의 비핵화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반면 일본은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가 다뤄지길 기대했다. ■ 미·일 정부의 반응=미국 백악관은 2일(현지 시각) 노무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을 지지하며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는 데 진전을 이루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데이너 페리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언제나 남북 간 대화를 지지해왔다며 “우리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도출될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이번 회담이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비핵화로 진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와 납치문제가 진전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 대변인 마치무라 노부타카 관방장관은 2일 기자회견에서 “동북아시아의 긴장완화라는 의미에서도 남북회담에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며 “납치문제에 대해서도 노 대통령이 적극적으로 언급하겠다는 말씀이 있었으므로 이 점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로서는 기대하는 바”라고 말했다. 그러나 집권여당인 자민당의 이부키 분메이 간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납치문제에 대해 확실하게 주장하길 바란다”고 주문하고 “어떤 것을 주고받는지 외교상의 대차대조표를 한국 국민들도 바라보고 있다”고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중국은 1일부터 국경절 연휴가 시작된 탓인지 공식반응이 나오지 않았다. ■ 외신 보도=미국 <시엔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