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평화적 핵이용, 어럴리 부대변인 “불허”-반외교 “허용”
애덤 어럴리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11일(현지시각)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권리를 인정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전날 발언에 대해 “한-미 간에 이견은 없다”면서도 “미국의 견해는 이미 잘 알려져 있다”고 말해, 현재로선 북한의 민간 핵프로그램을 허용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어럴리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권리를 놓고 한-미 간에 이견이 있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우리는 긴밀한 동맹으로서, 특히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공동의 접근법을 갖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도 이날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권리 문제에 관해 한-미 사이에 이견은 없다”며 “북한이 모든 핵을 폐기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한 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처 등 의무사항을 이행하면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조성할 수 있고, 이럴 때 평화적으로 핵을 이용할 수 있는 문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3주 간의 6자 회담 휴회 기간 동안 북-미, 북-중, 남-북 간에 많은 협의가 진행될 것이며, 이달 29일부터 시작하는 주에 회담이 다시 열릴 것으로 낙관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이날 리 부장과 2시간 동안 회담한 데 이어 탕자쉬안 국무위원이 주최하는 만찬에 참석했다.
정동영 장관은 이에 앞서 11일(한국시각) 언론 인터뷰에서 “일반적 권리로서 농업·의료·발전용 등 평화적 목적의 핵 이용 권리는 북한이 마땅히 가져야 한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6자 회담 한국 차석대표인 조태용 외교통상부 북핵외교기획단장은 “정부가 대북 송전을 골자로 한 중대 제안을 하면서 신포에 건설 중이던 경수로를 종료한다는 입장을 이미 밝혔고, 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북한이 평화적 핵 활동을 할 여건이 됐을 때는 신포 경수로가 아닌 다른 경수로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베이징/이상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