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전면 가동중단 위기
중재 적극 나설까
중재 적극 나설까
“대화·담판해야” 공개 표명
북 추가 핵실험 움직임에는
“평화·안정 저해 행동 반대” 케리 12~15일 한·중·일 순방때
‘북-미 대화 카드’ 받을지 관심 중국이 북한과 미국의 직접 대화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북한이 개성공단 노동자 철수를 전격 선언하며 한반도 긴장을 한층 더 높인 가운데 중국이 중재자로 나서는 신호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 관련국들이 대화와 접촉에 나서라는 중국의 주장이 북-미 직접대화를 촉구하는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다. 관련국들이 반드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고 말했다. 훙 대변인은 “관련국들이 대화를 통해 서로의 관심사를 이해해야 한다”며 “6자회담 틀 안에서 관련국 사이의 관계 개선, 한반도 비핵화와 안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핵 문제의 유일한 해법은 대화와 담판이다. 한반도의 전란은 누구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추가 핵실험 움직임에 대해선 “중국은 누구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가 그간 강조해온 6자회담을 통한 대화와 협상을 넘어 북-미 직접대화를 공개 촉구한 대목은 의미심장하다. 중국이 기존과 달리 움직일 가능성을 내비친 셈이기 때문이다. 중국으로선 나날이 극단으로 치닫는 한반도 정세를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이 선 듯하다. 한반도에서의 군사 분쟁은 결국 중국의 국익이 걸린 최우선 과제인 ‘안정적 경제성장’에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태도 변화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7일 보아오포럼 연설에서 “어떤 국가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지역과 세계에 혼란을 초래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는 이례적인 발언을 한 것에서도 감지됐다. 이는 중국의 만류를 무시하고 거듭 무력시위를 벌이는 북한에 대한 강한 경고이자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는 미국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됐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6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통화에서 “중국의 문 앞에서 말썽이 일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북-미 대화 촉구는 중국이 처한 딜레마를 보여준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지탄과 ‘북한이 중국을 무시하고 있다’는 국내 여론의 반발을 무시하며 북한을 일방적으로 편들 수도 없고, 한-미-일과 같은 수위의 제재에 나서 중국의 전략적 완충지대 구실을 하는 북한을 적으로 돌릴 수도 없는 처지다. 이와 관련해 12~15일로 예정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한·중·일 3국 방문 일정이 중요하다. 케리 국무장관의 동북아 3국 순방을 기회로 미·중 양국이 큰 틀의 전략적 조율을 할 텐데, 이때 중국은 위기를 벗어날 출구의 하나로 북-미 대화 카드를 제기하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선 미국이 이에 선뜻 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한편 이날 오후, <시엔엔>(CNN) 방송과 <에이피>(AP), <아에프페>(AFP) 등 외신은 북한의 개성공단 노동자 철수 발표를 긴급 속보로 타전했다. <에이피>는 개성공단에 대해 “(남북) 협력의 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마지막 화해의 프로젝트였다”고 평가하며, 이번 사태를 둘러싸고 “북한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능력은 없어도, 그보다 소규모의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공포가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안수찬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주의료원 노조 “귀족노조로 매도한 홍준표 고소”
■ 아침식사 들쑥날쑥 복부지방 차곡차곡
■ 고기의 ○○이 심장병 부른다?
■ 서울 토박이, 올레 걷다 제주도에 눌러살다
■ MS “1년뒤 윈도XP 지원 전면 중단”
북 추가 핵실험 움직임에는
“평화·안정 저해 행동 반대” 케리 12~15일 한·중·일 순방때
‘북-미 대화 카드’ 받을지 관심 중국이 북한과 미국의 직접 대화를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북한이 개성공단 노동자 철수를 전격 선언하며 한반도 긴장을 한층 더 높인 가운데 중국이 중재자로 나서는 신호가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해 관련국들이 대화와 접촉에 나서라는 중국의 주장이 북-미 직접대화를 촉구하는 것이냐’는 물음에 “그렇다. 관련국들이 반드시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고 말했다. 훙 대변인은 “관련국들이 대화를 통해 서로의 관심사를 이해해야 한다”며 “6자회담 틀 안에서 관련국 사이의 관계 개선, 한반도 비핵화와 안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핵 문제의 유일한 해법은 대화와 담판이다. 한반도의 전란은 누구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추가 핵실험 움직임에 대해선 “중국은 누구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했다. 중국 외교부가 그간 강조해온 6자회담을 통한 대화와 협상을 넘어 북-미 직접대화를 공개 촉구한 대목은 의미심장하다. 중국이 기존과 달리 움직일 가능성을 내비친 셈이기 때문이다. 중국으로선 나날이 극단으로 치닫는 한반도 정세를 더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판단이 선 듯하다. 한반도에서의 군사 분쟁은 결국 중국의 국익이 걸린 최우선 과제인 ‘안정적 경제성장’에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태도 변화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7일 보아오포럼 연설에서 “어떤 국가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지역과 세계에 혼란을 초래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다”는 이례적인 발언을 한 것에서도 감지됐다. 이는 중국의 만류를 무시하고 거듭 무력시위를 벌이는 북한에 대한 강한 경고이자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지 않는 미국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됐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6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통화에서 “중국의 문 앞에서 말썽이 일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북-미 대화 촉구는 중국이 처한 딜레마를 보여준다는 분석도 있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지탄과 ‘북한이 중국을 무시하고 있다’는 국내 여론의 반발을 무시하며 북한을 일방적으로 편들 수도 없고, 한-미-일과 같은 수위의 제재에 나서 중국의 전략적 완충지대 구실을 하는 북한을 적으로 돌릴 수도 없는 처지다. 이와 관련해 12~15일로 예정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한·중·일 3국 방문 일정이 중요하다. 케리 국무장관의 동북아 3국 순방을 기회로 미·중 양국이 큰 틀의 전략적 조율을 할 텐데, 이때 중국은 위기를 벗어날 출구의 하나로 북-미 대화 카드를 제기하겠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로선 미국이 이에 선뜻 응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한편 이날 오후, <시엔엔>(CNN) 방송과 <에이피>(AP), <아에프페>(AFP) 등 외신은 북한의 개성공단 노동자 철수 발표를 긴급 속보로 타전했다. <에이피>는 개성공단에 대해 “(남북) 협력의 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마지막 화해의 프로젝트였다”고 평가하며, 이번 사태를 둘러싸고 “북한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능력은 없어도, 그보다 소규모의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공포가 있다”고 전했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안수찬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주의료원 노조 “귀족노조로 매도한 홍준표 고소”
■ 아침식사 들쑥날쑥 복부지방 차곡차곡
■ 고기의 ○○이 심장병 부른다?
■ 서울 토박이, 올레 걷다 제주도에 눌러살다
■ MS “1년뒤 윈도XP 지원 전면 중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