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중국 공연을 취소한 북한 모란봉악단 단원들이 악기와 짐을 챙겨 숙소인 베이징 민쭈호텔을 나서고 있다.
베이징/교도 연합뉴스
모란봉 악단 공연취소 귀국 해석 분분
공연장 온 관람객들 “황당” 반응
신화통신 “실무 소통 문제” 보도
“중 당국 파장 최소화 노력” 전망
공연장 온 관람객들 “황당” 반응
신화통신 “실무 소통 문제” 보도
“중 당국 파장 최소화 노력” 전망
12일 저녁 베이징 천안문 광장 서편에 위치한 국가대극원. 7시30분 예정이던 북한 모란봉 악단과 북한 국가공훈합창단의 갑작스런 공연 취소 소식이 전해지자 검표소 앞 관람객들이 술렁였다. 한 중국인 관람객은 “10분 전에야 공연이 취소됐다는 소식을 들었다. 정말 황당하다”라며 “아마 정치적인 문제가 있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틀 전 김정은이 수소폭탄을 보유했다는 말을 했다. 이건 한반도 비핵화와 6자회담 재개를 주장하는 중국의 체면을 무시한 것이었다. 그래서 공연이 취소됐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관람객은 “스모그와 교통 체증을 뚫고 운전해와 피곤했는데 실망이 크다”라고 말했다. 국가대극원 곳곳에서는 “왜 취소됐느냐”라는 수십명의 관람객과 “그건 우리도 모른다”는 대극원 관계자 사이의 가벼운 실랑이가 이어졌다. 문의가 쇄도하자 국가대극원 쪽은 저녁 7시께 검표소 앞에 “모란봉 악단 공연이 사정 탓에 취소됐다. 불편을 끼쳐 죄송하다”는 내용의 공고를 붙였다. 이날 밤늦게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공작(실무) 측면에서 서로 간의 소통에 문제가 있어 12일부터 (사흘 동안) 북한 모란봉악단과 북한 공훈국가합창단 공연이 무산됐다”라며 “중국은 중-북 문화 교류를 중시하며 양국이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을 발전시키길 바란다”고 보도했다.
앞서 12일 정오께 모란봉악단 단원들은 숙소인 베이징 민쭈호텔을 나와 공연장이 아닌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으로 향했다. 이들은 전날 이화원과 쯔진청(자금성) 등을 둘러보고 국가대극원에서 리허설도 마친 상태였다. <환구시보>는 “애초 베이징발 평양행 북한 고려항공 JS152편이 12시55분 출발 예정이었지만 3시간가량 연착한 끝에 이들을 태우고 4시7분께 출발했다”라고 보도했다. 공훈국가합창단원들도 오후 열차편으로 북한으로 돌아갔다.
돌발적인 공연 취소를 두고 여러 추측이 나온다. 우선 <신화통신>보도대로 “실무 소통 문제”라면 행사를 주관한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중련부)와 북한 쪽이 사전에 중국 쪽 관람자의 급을 두고 충분한 조율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 쪽에서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수소폭탄 보유 발언이 원인이란 견해가 많다. 왕쥔성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수소 폭탄 보유 발언은 한반도 비핵화를 주창해온 중국 지도부를 당혹스럽게 했을 것이다”라고 짚었다.
그럼에도 중국학자들과 외교 소식통들은 “중국 내부에서는 북한에 대한 반감이 들끓겠지만 중국 지도부가 큰 틀에서 관계 개선으로 방향을 잡은 만큼 이번 사건을 일종의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파장을 최소화하려 할 것 같다”라고 내다봤다.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