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경호·의전 등 후속 회담
고위급회담서 ‘첫 통화’ 시기 논의
고위급회담서 ‘첫 통화’ 시기 논의
3주도 채 남지 않은 2018 남북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남과 북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남북은 지난 5일 경호·의전·보도 분야 첫 실무회담을 연 데 이어, 주말인 7일 정상 간 ‘핫라인’(직통전화) 개설 문제를 포함한 통신 분야 실무회담을 열었다. 이날 회담은 오전 10시께 시작해 2시간50분가량 이어졌으며, 우리 쪽에선 청와대와 통일부 등에서 통신 실무를 담당하는 인력 3명이 회담에 나섰다.
경호·의전 분야와 마찬가지로 고도의 비밀 유지가 필요하기에 통신 분야 회담에 대해서도 의제 등 구체적인 내용은 일절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정상회담이 열릴 판문점은 유엔사령부가 관할하는 장소인 만큼, 회담 당일 사용할 통신과 관련한 제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또 오는 27일 정상회담에 앞서 남과 북 최고지도자가 정상 간 통화를 하기로 했기 때문에 정상 간 통화의 보안 유지 문제 등 핫라인 설치와 관련한 기술적인 논의도 구체적으로 오갔을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통신 분야 실무회담은 더 진행할 것”이라며 “실무회담이기 때문에 정상 간 첫 통화가 언제 이뤄질 것인지에 대해선 (18일로 예정된) 고위급회담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방북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면담했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달 6일 내놓은 언론발표문에서 ‘군사적 긴장 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으며, 제3차 남북 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남북 고위급회담에 앞서 경호·의전·보도 분야 후속 실무회담도 이르면 이번주 안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상회담은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을 넘어 판문점 남쪽 지역으로 ‘방남’하는 형식인 만큼, 구체적인 이동 경로를 비롯해 문 대통령과 얼굴을 맞대는 시점과 방식, 정상회담 진행 절차 등에 대한 세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정인환 성연철 기자 inhwan@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