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왼쪽 넷째)이 14일 오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대북 인도지원과 관련한 의견을 듣기 위해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한국종교인평화회의 등 관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정부가 유엔 기구를 통해 하는 것 외에 국내 종단을 비롯해 민화협, 북민협을 통해 (대북 인도지원을) 한다면 정부도 정치적 부담을 덜 수 있고 모니터링도 더 잘할 수 있다.”
대북 인도지원 민간단체 협의체인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의 박창일 ‘평화 3000’ 운영위원장은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열린 대북 인도지원 관련 의견수렴 간담회에서 김연철 통일부 장관을 만나 “이 자리에 모인 단체들은 대북 인도지원을 20년 이상 한 경험이 있다. 수많은 협상을 했고 수많은 모니터링을 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북-미 관계 때문에 남북관계도 영향을 받아 대북 인도지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오랜 대북 인도지원 경험이 있는 민간단체가 나설 수 있다는 취지다. 그는 이어 “우리 정부가 개성 육로와 철길, 금강산 육로, 남포, 인천, 부산, 원산 등 배(항구)까지 다 열 수 있도록 한다면 북한 주민을 도와줄 뿐 아니라 남북 교류협력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앞줄 오른쪽)이 13일 정부서울청사 통일부 장관실에서 데이빗 비슬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을 면담하며 악수를 나누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날 간담회는 정부가 대북 식량 지원에 앞서 인도지원 경험이 풍부한 민간·종교단체한테 지원의 규모, 시기, 필요성 등에 대한 조언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북민협과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국내 7대 종단 연합체인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등 3개 단체 관계자 17명이 참석했다. 통일부는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이 조속한 시일 내에 대북 식량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며 “민간 차원의 대북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물자의 반출 등 절차에 대한 (정부의) 신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북한 주민에 대한 동포애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식량 지원을 검토해나갈 것”이라며 “다만 대북 식량 지원에는 국민적 공감과 지지가 필요한 만큼, 국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