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이 2019년 10월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북한이 이날 통지문을 보내 금강산 남측 시설 철거 관련 협의를 통보한 데 대해 “달라진 환경을 충분히 검토하며 금강산 관광의 창의적 해법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정부가 28일 ‘금강산 관광 문제 협의’를 위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을 열자고 북쪽에 제안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28일 오전 통일부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와 현대아산은 10월28일 오늘 월요일 오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북측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와 금강산국제관광국 앞으로 각각 통지문을 전달하였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구체적인 날짜 대신 “편리한 시기”에 “금강산에서 개최할 것”을 북쪽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정부는 북측이 제기한 문제를 포함해서 금강산 관광 문제 협의를 위한 당국 간 실무회담 개최를 제의하였으며, 관광사업자가 동행할 것임을 통지했다. 현대아산은 당국 대표단과 동행하여 북측이 제기한 문제와 더불어 금강산 지구의 새로운 발전방향에 대한 협의를 제의했다”고 덧붙였다. 여기서 이 대변인이 밝힌 “북측이 제기한 문제”는 지난 25일 북한이 요청해 온 금강산 남쪽 당국 및 민간기업 설치 시설 철거 문제를 뜻한다.
지난 25일 오전 북한은 “금강산 지구에 국제관광문화지구를 새로 건설할 것”이라며 “합의되는 날짜에 (남쪽이) 금강산지구에 들어와 당국과 민간기업이 설치한 시설을 철거해 가기 바란다”는 내용의 통지문을 남쪽에 보낸 바 있다. (
▶관련기사: 북, 시설 철거 속도전…정부, 관광재개 방법 찾아 파국 막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 관광지구를 찾아 남쪽의 낡은 시설들을 들어내고 “종합적인 국제관광문화지구”(23일 <노동신문>)를 건설하라는 지시를 내린 지 이틀 만에 북한 당국이 곧바로 시설 철거 문제를 협의하자고 남쪽 당국에 공식 요청을 해온 것이다. 이에 정부는 같은 날 오후 곧바로 기자회견을 열어 남북 간 협의를 통해 “금강산 관광 재개나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상민 대변인은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남북관계의 모든 현안을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며 “금강산 관광문제와 관련하여서도 우리 기업의 재산권에 대한 일방적인 조치는 국민 정서에 배치되고 남북 관계를 훼손할 수 있는 만큼 남북간에 충분한 협의를 거쳐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변인은 “금강산 지역은 관광지역으로서의 어떤 공간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고 이산가족의 만남의 장 그리고 사회문화 교류의 공간 이렇게 3개의 기능적인 공간적인 구성되어 있다”라며 “그래서 창의적 해법이라는 것도 이러한 세 가지의 어떤 기능적 공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출발할 수 있다. 여기에 근거해서 지금 창의적 해법 마련을 위해서 본격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