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왼쪽)가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이명박 대통령과의 만남을 제안하러 온 박재완 청와대 정무수석과 이야기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일 교과서 독도 명기’ 정치권 반응
일본 문부과학성이 중학교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고유영토로 기술할 방침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여야는 19일 일본의 계획 철회와 한국 정부의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사태 배경을 놓고 통합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의 대일 저자세 외교 탓”이라고 비판한 반면, 한나라당은 “노무현 정부 때도 마찬가지였다”고 맞섰다.
최재성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에서 “‘독도와 교과서 문제는 일본이 다소 도발하더라도 호주머니에 넣어 두고 드러내지 말자’고 말했다던 이명박 대통령이 일본으로부터 도발을 당한 것”이라며 “일본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의 지나친 저자세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잘못의 시정을 요구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이 대통령의 지시가 (쇠고기 파동으로) 들끓는 민심을 잠재우려는 대일 강경발언이라면 사양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민석 최고위원은 “이번 일은 일본 국민과 국제사회를 겨냥한 일본 정부의 정치적 도발인 만큼 (우리 정부는) 정치적으로 지혜롭게 그러나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이 대통령이 적절한 시기에 독도를 한 차례 방문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신낙균 최고위원은 “국민의 억장이 무너질 일인 만큼 정부는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엄중 항의하고, 만일 사태가 현실화된다면 주일 한국대사의 소환도 검토하는 등 강도 높은 대응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본과 새로운 협력관계를 구축하려는 새 정부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며 “정부가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일본 대사 등을 불러 항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재희 최고위원은 “일본의 역사왜곡, 중국의 동북공정 등은 우리 국민들의 저항이 심하면 잠잠했다가 다시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반복해 왔다”며 “양국 정부가 일련의 계획 아래 (잘못된 일을) 줄기차게 진행하려는 점을 인식하고, 국제사회에 내놔도 분명한 우리 영토임을 증명할 자료를 확보하는 중장기적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통합민주당이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마저 출범한 지 석달 밖에 안되는 이명박 정부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민주당의 태도를 문제삼았다.안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일본의 주장은 노무현 정권 때도 마찬가지로 집요하게 해오던 것”이라며 “무책임한 정치공세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조혜정 강희철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