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주장외 한국사 왜곡
지난 30일 발표된 일본 정부의 중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보면, 독도 영유권 주장뿐만 아니라 역사교과서에서 나타난 한국 역사 관련 서술도 상당히 왜곡돼 있음이 드러났다.
31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토론회에서 이재석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전체가 아닌 일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을 전제한 뒤 “고대 한국과 한-일 관계, 왜구, 임진왜란, 강제합병, 황민화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 역사 왜곡 기술이 그대로 재연되거나 개악됐다”고 진단했다.
개악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지유사 교과서에서 나타난 “러일전쟁 뒤 일본은 한국통감부를 두고 보호국으로 만들고 근대화를 추진했다”는 기술, 일본군 ‘위안부’ 기술이 한 군데에도 없다는 사실 등이다. 통감부는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하기 위해 존재한 기관이 아닌 내정 장악을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기존에 유일하게 ‘위안부’ 관련 기술을 넣었던 니혼쇼세키신사 출판사의 교과서는 이번에 검정을 신청하지 않아, 내년부터 중학교 교과서에서 ‘위안부’ 내용은 아예 사라지게 됐다.
고조선의 존재를 언급하지 않고 한반도의 고대 국가 형성을 한사군 설치 뒤로 기술한 점, 임나일본부설을 부분적으로 담고 있는 점, 왜구에 조선인이 다수 포함됐다고 주장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야마토왜가 4세기 후반에 한반도 남부지역에 진출해 ‘일본부’라는 기관을 둔 뒤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은 2005년 한·일 정상회담의 결과로 출범한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가 폐기하기로 합의했음에도 개선되지 않았다.
이 연구위원은 일본 정부의 검정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도 조목조목 비판했다. 신청본에 비교적 객관적으로 적혀 있었던 한국 관련 기술이, 검정을 거치며 축소되거나 아예 삭제됐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쿄서적 교과서는 신청본에 “고조선이 성립했다고 말해지고 있다”는 내용을 담았으나, “고대의 조선에 대해 오해할 우려가 있다”는 검정의견에 따라 내용 자체를 삭제했다. 이는 2008년 만들어진 신학습지도요령과 해설서의 영향이라고 풀이할 수 있는 대목이다.
최원형 이용인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