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오른쪽)이 16일 오전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가 열린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에게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중 장예쑤이 “사드 반대 뜻 전달
대북 제재와 대화 병행해야”
환구시보 “강력한 군사대응 초래
사드, 한국 독립성 더 잃게 할 것”
대북 제재와 대화 병행해야”
환구시보 “강력한 군사대응 초래
사드, 한국 독립성 더 잃게 할 것”
장예쑤이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은 16일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을 만나 “사드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고 중국 쪽은 반대 의견을 밝혔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언론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한국에 배치될 경우 한국은 독립성을 더 잃게 되고 국가적 지위에 엄중한 악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 수위를 높였다.
장 부부장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외교부청사)에서 임 차관과 제7차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마친 뒤 기자들한테 이렇게 전했다. 장 부부장은 “임 차관과 중·한 관계와 지금의 한반도 정세에 어떻게 대응할지 아주 깊이있고 솔직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솔직한 대화’란 격론을 벌였다는 뜻의 외교적 표현이다. 외교부는 장 부부장이 임 차관에게 “중국의 이익과 관심에 대한 존중을 요청했다”고만 전했다.
외교부는 “중국 쪽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추진 현황을 상세히 설명했으며, 양쪽은 강력하고 실효적인 안보리 결의를 조속히 채택해야 한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봤다”고 밝혔다. 하지만 장 부부장은 기자들에게 “안보리에서 새롭고 강력한 제재 결의를 통과시키는 것에 찬성한다”면서도 “아울러 대화·협상을 통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 부부장은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 평화 안정을 수호하려는 결심이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했다. 대북 대응 방법론을 두고 양쪽의 시각차가 상당했음을 보여준다.
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이날 사설에서 “만약 한국에 사드가 출현하면 중국 사회는 인민해방군이 동북지역에서 강대한 군사적 배치로 대응하는 것을 반드시 지지할 것”이라며 “그럴 경우 한국의 본토는 미·중 간 군사적 배치 경쟁이 펼쳐지는 매우 민감한 지역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문은 이어 “이렇게 될 경우 한국은 국가적 독립성을 더 잃게 돼 대국의 게임에서 자신도 어쩔 수 없는 바둑돌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며 “한국의 국가적 지위도 엄중한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제훈 기자, 베이징/성연철 특파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