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정상 간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6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대해 제재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오전 11시부터 20여분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 방안을 심도깊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양 정상이 이날 통화에서 “이번 북한의 핵실험은 그 규모와 성격 면에서 과거와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고 북한의 도발을 규탄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이번 핵실험이 과거보다 몇 배 더 강한 위력을 보였다는 점, 북한이 스스로 중장거리탄도미사일(ICBM) 장착용 수소탄 실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는 뜻을 나타내고, “국제사회와 협력해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양국 정상은 “북한에 대한 최고도의 강력한 압박 제재를 같이 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그 일환으로 더욱 강력한 유엔안보리 제재 결의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박 대변인은 밝혔다.
새 제재안으로는 원유공급 중단, 북한 노동자에 대한 송출 금지 등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원유공급 중단이나 석유제품 수출금지, 북한 노동자에 대한 송출 금지 등 (기존 안보리 결의안에서 포함되지 않고) 실제적으로 남아있는 더 강력한 제재조치를 포함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일 양국 정상 간 통화는 지난달 30일 이뤄진 이후 5일만이며,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범 이후로는 여섯번째다. 청와대는 미국 쪽과도 핫라인을 가동해 소통 중에 있으며, 중국과 러시아와도 정상 간 소통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