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지난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22개 상급종합병원장들과 만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중증 환자 병상 운영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여당의 확장재정 요구에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지난 22일 오후 세종 총리공관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여당에서 왜 확장적 재정을 하지 않느냐고 얘기하지만 (정부는) 인플레이션이나 통화가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추진)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무조건 다 주자’ 아니면 ‘일부만 주자’ 이런 논의는 의미가 없지 않느냐”며 “실제로 도움이 되지 않았을 때 어떤 방법이 있는지, 재정을 투입하면 언젠가는 뭔가를 줄여야 할 텐데 어떻게 할 건지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정적인 재원 범위 안에서 가장 실효성 있는 코로나19 지원책을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김 총리는 “대선 후보들이 이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받지 않겠느냐”며 “정부 차원에서의 1차 대응을 이번주에 비상경제장관회의,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에서 발표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업 자체가 무너지다시피 한 여행, 숙박, 관광, 공연 분야는 100만원, 200만원 주는 것보다도, 조금 목돈이 될 만한 1000만원, 2000만원 무이자 융자 하는 등의 내용의 대책을 이번 주 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경기지사 출마설 등 내년 6월 전국동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제기된 일부 국무위원의 개각설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김 총리는 “정권이 6개월 남았는데 개각은 말이 안 된다”며 “공직이라는 게 국민에 대한 공복인 셈인데 그 정도의 상식은 있다”고 일축했다.
김 총리는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일부 부처에서 정치적 중립 위반 의혹이 불거진 것에 대해선 “문제가 이렇게까지 번진 데 대해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거듭 사과했다. 김 총리는 “정부 주요정책 추진 및 현황 책을 후보 진영에 공식적으로 전달했다”며 “하나의 전통으로 삼으려고 한다. 공무원들을 ‘선한 행정의 관리자’로 두자. 왜 그걸 흔드냐. 그런 관점에서 이번에 그걸 한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가졌던 뼈아픈 경험들도 정리해 다음 정부 들어선 분들이 부동산 투기세력에 끌려다니지 않을 수 있게 여러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이 늘어나는 속도나 정부의 다양한 공급 확대 정책 등을 보며 조금씩 호흡을 길게 가져가면 어떤가”라며 ”부동산 시장 상황에 대해서도 “틈새에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요소수 사태에 대해 김 총리는 “요소수 대응이 늦었다는 지적은 어느 정도 옳다. 안일함이 있었던 것 같다”며 “반면교사가 돼 국가 전략물자로 분류된 300여개는 비축하고, 어떨 때는 어떤 조처를 하는지 만들어 다음 정부도 참조하게 하겠다”고 설명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