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는 21일 스스로 진단검사가 가능한 신속항원검사 방식을 선별진료소에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오미크론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하고자 기존 의료대응체계에서 몇가지 변화를 시도한다”며 “기존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고위험군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속도가 훨씬 빨라질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이어 “오미크론이 급증하고 있는 몇몇 지역을 대상으로 동네 병·의원 중심의 검사·치료체계 전환모델을 우선 적용한다”며 “그 결과를 보면서 확대·보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먹는 치료제’의 사용을 더욱 확대한다”며 “투약 연령을 65살에서 60살 이상으로 낮추고 요양병원, 요양시설, 감염병 전담병원까지 공급기관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내주에 환자 개인별 진료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가동되면 처방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외유입 확진자를 줄이기 위해 입국관리를 더욱 강화한다”며 “입국 후 격리과정에서 기존 유전자증폭 검사에 더해 신속항원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겠다. 격리면제 사유를 엄격하게 한정하고 대상자도 최소화하는 한편, 면제서 유효기간도 1개월에서 14일로 단축한다”고 말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