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2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공직 퇴임 뒤 김앤장에서 거액의 보수를 받고 고문으로 활동한 행적에 대해 “국민 눈높이로 보면 송구스러운 측면은 있다”면서도 “공공 외교를 하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봤다”고 말했다. 그는 통상산업부 고위직 재직 때 한국시장 진출을 준비하던 미국 기업에서 거액의 월세를 받은 것도 특혜의 대가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정확한 월세 소득을 확인하기 위해 개인정보 공개에 동의하라는 요구는 사실상 거부했다.
한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첫날인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한 후보자의 ‘김앤장 고문료 20억원’을 둘러싼 ‘전관예우’, ‘회전문 인사 논란’ 등에 대한 이해충돌 의혹을 집중 제기했다. 하지만 한 후보자는 “전관예우나 이해충돌은 한 건도 없었다”고 맞섰다. 김의겸 의원은 “공직에서 김앤장으로 가는 회전문은 반 바퀴도 돌기 어려운데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군계일학이 바로 한 후보자”라고 비판했고 남인순 의원도 “회전문 공직은 국민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냐”고 물었다. 이에 한 후보자는 “제가 (김앤장) 거기에 있기 때문에 도와준 것이 전관예우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일은 한 건도 없었다”고 자평했다. 한 후보자는 이어 “공적인 여러 직책에서 경험과 능력을 쌓은 사람이 민간 쪽에서 가서 일종의 이해충돌이나 전관예우가 아니라 국가를 위해 도울 일이 있으면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후보자는 ‘사적 이익뿐 아니라 공적 이익을 고려해 (김앤장에) 간 것이냐’는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제가 김앤장에 간 이유는 (재직 당시) 해외 투자를 유치하고, 우리 경제를 설명하고, 공공 외교를 하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봤기 때문”이라며 “저 자신이 특정 케이스에 관여한 것이 없고 단 한건도 제 후배인 공무원에게 전화하거나 부탁한 경우가 없다”고 했다.
한 후보자는 통상산업 관련 고위직 재직 시기인 1989년부터 10년 간 미국 통신업체 에이티앤티(AT&T)와 미국계 정유사인 모빌에 서울 종로구 단독주택을 임대하고 6억2천만원 월세소득을 올린 것도 ‘이해충돌 사안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회재 민주당 의원은 “고액의 월세가 무슨 대가성이 있지 않나, 국민들은 의혹 제기를 할 수밖에 없다”고 했지만 한 후보자는 “절대 그 기업에 대한 특혜(를 주거)나, 회사 책임자를 만난 적이 없다”며 “거기에 대한 소득은 철저하게 종합 소득으로서 다 세금을 낸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한 후보자가 개인정보 제공) 동의만 하면 인터넷에서 한 후보자가 얼마의 월세 소득을 올렸는지 지금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며 공개를 요구했지만 한 후보자는 “어떤 청문회도 국세청의 원칙인 5년 과세기간 이상을 제출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실상 거부했다.
한 후보자는 2014년 정부와 론스타 간 국제투자분쟁 소송(ISDS)에서 ‘한국이 지나치게 국수주의적’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그런 얘기를 한 적은 있다“면서도 “이는 론스타와 전혀 관련이 없는 시각에서 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 후보자 청문회는 3일까지 이틀간 열린다. 애초 지난달 25~26일로 잡혔다가 자료 제출 미흡 논란 속에 파행된 뒤 다시 잡힌 일정이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