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등 민주당 계열 정당들은 1995년 지방선거 부활 뒤 부산에서 기초단체장을 1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자치구 16곳 가운데 13곳에서 구청장을 당선시킨 4년 전 선거는 말 그대로 대이변이었다.
<한겨레>가 29일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자체 판세 분석과 최근 언론사 여론조사 등을 종합해보니, 강서구와 영도구를 제외한 자치구 14곳에서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서·영도구는 두 당 후보가 경합 중이었다.
민주당은 쉽지 않은 선거임을 인정하면서도 어느 한곳도 ‘열세’로 분류하지 않았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현재 당 소속 구청장이 있는 11곳(동·영도·부산진·동래·남·북·해운대·사하·금정·강서·연제구)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국회의원 지역구였던 사상구, 국민의힘 공천에 불복한 후보가 무소속 출마한 기장군까지 13곳을 ‘경합 우세’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나머지 3곳(서구·중구·수영구)은 ‘경합’으로 분류했다.
하지만 부산 지역 언론이 벌인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민주당 분류는 지나치게 ‘희망적’이다. 여론조사에선 민주당 후보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국민의힘에 오차범위 밖에서 밀린다. 격차가 많은 곳은 20%포인트까지 뒤지는 곳도 있다. 역대 선거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접전을 벌여 ‘낙동강 벨트’로 불리는 북·강서·사상·사하·영도구 5곳에서도 강서·영도구를 뺀 3곳도 국민의힘 후보가 크게 앞서고 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강서·영도구만 ‘경합 우세’로, 나머지 14곳은 ‘우세’ 지역으로 분류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국민의힘이 1995년 지방선거가 부활하고 27년 만에 처음으로 16곳의 구청장을 싹쓸이할 가능성까지 점친다.
현재 부산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정당 지지도는 지난 대통령 선거 때 이재명 민주당 후보(38%)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58%)의 득표율과 비슷하다. 또 윤석열 정부를 견제하자는 여론보다 새 정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여론이 훨씬 높다. 4년 전엔 남-북·북-미 정상회담 기대감과 집권 2년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에 힘을 실어주자는 분위기가 맞물리면서 부산의 민주당 지지도가 50%를 넘나들었던 것에 견주면 큰 변화다.
정경원 민주당 부산시당 사무처장은 “최근 몇년간 부산의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민주당 후보 득표율과 실제 결과가 맞지 않았던 게 많아 여론조사만으로는 결과를 예단할 수 없다. 민주당 지지층이 투표장에 간다면 3분의 1 정도는 승리를 기대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변제준 국민의힘 부산시당 사무처장은 “윤석열 정부에 힘을 실어주자는 여론이 높아서 공식적으로는 70~80% 당선을 목표로 한다. 선거 초반 경합 지역이 여러 곳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모두 우세로 돌아섰거나 돌아설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