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추석 연휴 전까지 새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하고, 한시적인 ‘권성동 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 체제’에 뜻을 모았지만 당내 반발이 거세다. 법원이 부당함을 지적한 비대위 체제를 연명하기 위해 사퇴 압박까지 받고 있는 권성동 원내대표를 다시 ‘당의 얼굴’로 내세우기로 하자, ‘꼼수’라는 비판과 함께 권 원내대표 즉시 사퇴 주장이 빗발쳤다. 서병수 전국위원회 의장은 새 비대위 발족을 위한 절차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이준석 전 대표는 비대위를 해체하라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추가로 내는 등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비대위는 29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만장일치로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 직무대행을 맡아 새 비대위 출범을 주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은 새 비대위 출범 시한을 ‘추석 전’으로 잡고,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당헌 개정 작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또 ‘주호영 비대위원장 직무정지가 부당하다’며 이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을 법원에 냈다.
당내에선 ‘비대위 출범의 부당함을 지적한 법원 결정을 무력화하려는 꼼수’라는 비판이 분출했다. 비대위 구상대로 당헌에 △당대표가 중징계를 받았거나 △최고위원 절반이 사퇴한 경우를 ‘비상상황’으로 명시해 또다시 비대위 체제를 꾸리면 법적 논란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예비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은 페이스북에 “새로운 비대위를 구성하자는 주장은 법원의 판결 취지에 맞지 않으며, 법적 다툼의 미로 속으로 들어가는 길”이라며 “새로운 원내대표를 뽑아 직무대행 체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병수 전국위 의장은 당헌 개정을 위한 상임전국위를 소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 5일 상임전국위를 소집해 현재의 비대위로 전환을 의결한 그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법원은 (비대위 전환) 그게 무효라는 거 아니냐. 그 법을 무시하면 안 된다”며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면 안 된다”고 말했다. 서 의장은 “(상임전국위 의장이 소집을) 거부하면 당헌·당규상 당대표가 상임전국위를 소집할 수 있는데 지금은 당대표가 없다”고 말했다. 본인을 대신해 ‘권성동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이 상임전국위를 소집하면 절차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하지만 권 원내대표는 “의원들의 총의가 모이면 따라야 하는 게 고위당직자의 책무”라며 “(서 의장이) 사회 보시는 것을 거부하실 경우에는, (전국위) 부의장이 대신해서 사회를 보면 된다고 본다”고 맞섰다. 권 원내대표의 버티기 명분은 ‘직무대행으로서 당의 혼란 수습’이다. 그러나 권 원내대표가 이 전 대표 추가 징계와 조기 전당대회를 전제로 한 ‘비대위 재정비’에 나서면서, 당내에선 권 원내대표의 최종 목표는 결국 ‘이준석 완전 제거’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준석 전 대표는 이날 서울남부지법에 권 원내대표 등 비대위원 8명의 직무집행과 비대위 효력을 정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서를 내며 반격했다. 이 전 대표 변호인단은 “무효인 비상대책위원장의 직무대행도 무효이고, 무효인 비대위원장이 임명한 비대위도 무효이며, 비상상황이 아님에도 설치한 비대위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영남일보> 인터뷰에서 “무리수를 덮으려고 또 다른 무리수를 던진다”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30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새 비대위로 가기 위한 당헌 개정안을 논의할 예정이나, ‘비대위 꼼수 연명’ 비판과 권 원내대표 즉시 사퇴론이 분출할 것으로 보인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