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가 지난 1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며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새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애초 예상보다 두세달 가량 늦은 내년 4~5월께 열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면서 당내 친윤계가 반발하는 조짐이다.
내년 4∼5월 전당대회 개최설은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무감사 계획을 밝히면서 확산했다. 지난 14일 정 위원장은 이성호 전 국가인권위원장을 당무감사위원장으로 임명했다. 당내에서는 각 지역 당원협의회 위원장에 대한 당무 감사를 마치려면 적어도 내년 3월은 되어야 한다고 관측한다. 총선 공천 우선 순위인 당원협의회 위원장은 전당대회에서도 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당무 감사가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전대를 치르기 불가능한 것이다.
친윤계는 정 위원장이 의도적으로 전대를 미루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한 친윤계 의원은 16일 <한겨레>에 “비대위원장이 왜 당무감사까지 하는지 모르겠다. 비대위원장은 후임 대표를 선출할 때까지 ‘관리’하는 사람인데, 너무 욕심을 부리는 거 같다”며 “전당대회를 빨리해야지 뒤로 미루는 건 공감을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른 친윤계 의원도 “전당대회를 빨리해서 당 수습을 해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 뜻도 빨리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쪽이다”라고 전했다.
윤핵관들을 중심으로 조기 전대설 주장이 고개를 들면서 전대 시기가 당내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전대 시기에 따라 당 대표 출마자들의 면면이 바뀔 수 있는 데다, 새로 뽑히는 당 대표는 2024년 총선에서 의원들의 ‘생사’를 가르는 공천에 강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친윤계 핵심 대부분이 친윤계의 선배격인 정 위원장에 대해 불만을 나타내면서 분화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당이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형, 동생’ 사이이던 권성동, 장제원 의원의 사이가 벌어진 바 있다.
한편 국민의힘 조직강화특별위원회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3차 회의를 열고 오는 17~18일 이틀동안 전국 66개 사고 당협위원회 조직위원장 추가 공모를 받기로 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