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18일, 4월 총선 공약으로 저출생 대책을 나란히 발표하며 정책 경쟁에 돌입했다. 전담 부서 신설과 부모 육아휴직 신청 시 자동휴직 정도를 제외하면, 두 당의 저출생 대책은 방향이 다르다. 국민의힘은 남성 출산휴가(‘아이 맞이 아빠 휴가’) 의무화, 육아휴직 급여 인상 등 주로 일-가정 양립 지원에 초점을 맞춘 방안을 1호 공약으로 제시했다. 민주당은 신혼부부 1억원 대출과 자녀 수에 따른 원리금 차등 면제, 아동수당·펀드로 아이 1명당 1억원 지원 등 현금성 지원 중심의 대책을 4호 공약으로 발표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의 한 스타트업을 방문해 “저출생 문제는 부부간 육아 부담 격차, 중소기업과 대기업 격차와 관련돼 있다. 이런 격차 해소는 저출생 문제 해결과 동행사회의 첫걸음”이라며 ‘일·가족 모두 행복’ 정책 일부를 직접 발표했다.
여기엔 △저출생 대책 컨트롤타워로 부총리급 ‘인구부’를 신설해 여성가족부 통폐합 △남성의 유급 출산휴가 1개월 의무화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현행 150만원에서 210만원으로 인상 △초3까지 유급 자녀돌봄휴가 신설(연 5일) △임신 중 육아휴직 배우자에게도 허용 등의 내용이 담겼다. 중소기업의 육아휴직자 대체인력에겐 ‘채움인재’ 인센티브를, 대체인력 확보가 어려워 동료에게 업무가 가중될 땐 ‘육아 동료수당’을 지급하는 방안도 내놨다. 필요한 재원은 ‘저출생대응특별회계’를 신설해 마련한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 주재로 ‘저출생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간병비 급여화, 온동네 초등 돌봄, 경로당 주 5일 점심 제공에 이어 네번째 총선 공약이다. 이재명 대표는 “아이를 낳지 않는 가장 큰 원인은 미래에 대한 희망이 줄어들거나 사라지기 때문”이라며 “특히 자산·소득의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돈 때문에 결혼을 포기하는 청년층 지원 방안으로 모든 신혼부부에게 10년 만기로 1억원을 대출해주는 ‘결혼·출산지원금’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첫 자녀가 태어나면 이 대출은 무이자로 전환되고, 둘째를 낳으면 원금의 절반인 5천만원 감면, 셋째를 낳으면 원금 전액이 감면된다. 사실상 두 자녀 부부에게는 5천만원, 세 자녀 부부에게는 1억원을 주는 셈이다. 민주당은 아이 한명당 월 20만원의 아동수당(8~17살)과 월 10만원의 펀드로 모두 1억원을 지원하겠다고도 공약했다. 아이가 2명일 땐 24평, 3명일 땐 33평 등 다자녀 부부에겐 분양전환 공공임대 주택도 지원한다. 민주당은 저출생 대응 전담부서로 ‘인구위기 대응부’ 신설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우연 azar@hani.co.kr 선담은 기자 sun@hani.co.kr 강재구 기자 j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