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전당대회 앞두고 계파 움직임 ‘꿈틀’
중도파는 “대리인 선출대회 안돼” 주장
중도파는 “대리인 선출대회 안돼” 주장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한나라당 안에서 7월11일 서울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전당대회의 성격 등을 놓고 논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당내 중도파는 2일 ‘전당대회가 대선 주자의 대리인을 뽑는 선출대회가 되어서는 안 된다’라는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중도파 모임인 푸른정책연구모임(푸른모임)의 권영세 대표는 이날 “전당대회에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인물로 관리형 대표를 뽑는 것은 한나라당에 기대를 걸고 압승을 안겨준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며 “사회 문제에 관한 대안을 내놓는 전당대회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푸른모임은 오는 9~10일 이틀에 걸쳐 원주에서 워크샾을 열어 이런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당내 소장파 모임인 새정치수요모임(수요모임)도 이날 점심 모임을 열었다. 박형준 대표는 “변화와 개혁의 방향을 먼저 정한 뒤 거기에 맞는 사람을 당 대표로 뽑아야 한다”며 “구체적인 사람을 거론하는 것은 가장 나중에 할 일”이라고 말했다
대리인을 내세우지 말고 대선주자들이 직접 전당대회에 나서 경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임태희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인력과 자원이 모자란 야당의 대선주자는 당내 활동을 통해서만 역량을 키우고 세간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며 “당권과 대권을 분리한 당헌·당규를 고쳐서라도 박근혜 대표, 이명박 서울시장, 손학규 경기지사, 고건 전 총리, 정운찬 서울대 총장 등 모든 거론되는 대선 주자들이 직접 전당 대회에 나서 경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전당대회에 나설 한나라당 인사들은 의원과 외부인사를 통틀어 30여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유력 인사로는 이재오 원내대표, 김무성 의원, 박희태 국회부의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원내대표는 이명박 시장 쪽, 김무성 의원은 박 대표 쪽 인사로 각각 분류된다. 출마가 거론되던 강재섭 의원은 대선 준비에 매진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고, 맹형규 전 의원은 7월 재선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외부 인사로는 정운찬 서울대 총장, 박세일 전 의원 등이 거론된다.
전당대회 전후로 치러질 원내대표 경선에는 4선의 김형오 의원, 3선의 홍준표·남경필·안택수 의원 등이 나설 것으로 얘기되고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