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강삼재 전 신한국당 사무총장이 돌아왔다.
강 전 총장은 11일, 7·26 재선거에서 경남 마산갑 지역에 출마할 뜻을 밝혔다. 20년, 5선 의원의 경험과 경륜은 자산이라며 한나라당에 돌려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그의 복귀 선언은 시대 흐름과는 한참 동떨어져 보인다.
그는 15대 총선 당시 옛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 예산 1197억원을 신한국당 선거자금으로 썼다는, 이른바 ‘안풍 사건’에 연루돼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정계를 떠났던 인물이다.
물론 대법원은 지난해 10월 “돈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자금일 개연성이 높고, 안기부 예산이라 입증할 수 없다”며 그에게 무죄판결을 내렸다. 그럼에도 당시 선거에서 정체불명의 1천억원대 돈을 주무른 중심에 그가 있었다는 사실에는 변한 게 없다. 재판과정에서 이 자금 가운데 상당액을 많은 정치인에게 선거자금 등으로 나눠준 사실도 드러났다. 대법원은 또 강 전 총장이 1천억원대의 돈을 세탁한 혐의에 대해서도 벌금 1천만원을 원심대로 확정했다.
강 전 총장 쪽은 ‘관행’이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관행’은 이제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강 전 총장의 정계복귀는 이런 관행에 대한 면죄부로 읽힐 수 있다.
한나라당은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덕룡·박성범·고조흥 의원의 ‘돈공천’ 의혹을 검찰에 고발하는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 국민들은 한나라당의 이런 ‘제살깎기’ 노력에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그의 재선거 출마는 ‘차떼기 당’ 이미지를 털어내려는 한나라당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공산이 크다. ‘선거에서 압승했다고 오만해진 것 아니냐’는 소리도 나올 수 있다.
강 전 사무총장은 “민심은 조석변(朝夕變)”이라며 “당과 대한민국을 향한 ‘무한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가 무한책임을 질 일은 미래에 있지 않다. 무한책임은 과거의 ‘검은돈’에 대한 해명과 사과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민심은 그의 말대로 조석변할지 모른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