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최태민 목사 비리연루 입길
박근혜 전 대표 쪽은 ‘검증은 자신 있다’는 태도다. 맞수인 이명박 전 시장에 견줘 거리낄 게 별로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수장학회 관련 의혹은 검증 국면에서 어떤 식으로든 쟁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과거사정리위원회가 부일장학회(정수장학회 전신) 헌납을 국가권력에 의한 강탈이라고 규정했고, 정부는 최근 국고환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전 시장 쪽 역시 이 사건을 계속 만지작거리고 있다.
정수장학회 사건이란, 부산지역 기업인이던 고 김지태 삼화그룹 사장이 자신이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1962년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강제로 ‘헌납’한 것을 말한다. 당시 김씨는 <부산일보>와 서울·부산 <문화방송>의 주식, 부동산 10만평도 헌납했다.
이후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인척과 측근을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박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 전 대표가 94년부터 2005년 2월까지 12년간 이사장을 지냈다. 현재는 박 전 대통령의 의전·공보 비서관을 지낸 최필립 전 리비아 대사가 이사장을 맡고 있다. 최 이사장은 2002년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만들었을 때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이전엔 박 전 대통령 동서인 조태호(5대 이사장)씨를 비롯해 이후락 전 중앙정보부장, 박준규 전 국회의장 등이 이사를 맡았다. 박 전 대표가 이 재단의 ‘실세이자 배후’란 주장이 나오는 배경이다. 박 전 대표는 98~99년 정수장학회로부터 섭외비 명목으로 각각 1억원과 1억5천만원을 받고 세금을 내지 않았다는 탈세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박 전 대표는 최근 과거사위 결정에 “억지가 많다. 공익법인이기 때문에 이미 사회에 환원된 것이다”라고 말했다.
고 최태민 목사(94년 사망) 문제도 검증 항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황해도 출신인 최 목사는 74년 육영수씨가 숨진 뒤 박 전 대표와 함께 90년대 초까지 구국봉사단, 육영재단 등을 함께 운영하며 많은 구설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중앙정보부가 조사한 최 목사의 비리는 횡령 14건(2억2천여만원), 권력형 비리 13건, 사기 1건 등 총 44건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최 목사의 친인척인 정아무개씨는 2002년 박 전 대표가 미래연합을 만들 때 비서실장을 지냈다. 이 전 시장 쪽에선 “최 목사 일가가 아직 박 전 대표를 돕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이들이 국정을 농단할 개연성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80년대 초 서울 성북동에 자택을 마련해 줬다는 의혹 △영남대 재단 이사 시절 벌어진 부정입학과 교수채용비리 관련 의혹 △동생 근영씨와의 육영재단 주도권 다툼도 입길에 오르고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