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쪽 일부 “개혁공천 해야 한다”
친박 “신뢰 회복됐다고 생각치 않아”
친박 “신뢰 회복됐다고 생각치 않아”
부정부패 전력자의 공천신청 자격 여부를 둘러싸고 파국 직전까지 갔던 한나라당 공천 갈등이 일단 봉합됐지만,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한나라당은 4일 공천심사위원회를 열어 “부정부패 관련자에게 공천 신청자격을 주지 않는 당규 3조2항은 금고형 이상의 형을 확정받은 사람에게만 적용한다”고 해석한 지난 2일 최고위원회 의결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벌금형 전력이 있는 박근혜 계의 좌장 김무성 최고위원의 공천 신청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 쪽은 이를 수용했다. 박 전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고위에서 결정났으니 당과 공천심사위에서 알아서 잘 하지 않겠느냐”며 “당 대표가 공정하게 하리라 믿고 맡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쪽은 이날 공천 문제를 논의하려고 소집해뒀던 원내외 ‘친박’ 인사 모임도 취소했다. 강재섭 대표는 이방호 사무총장 퇴진 요구를 접었다. 강 대표는 최고위원회에서 “비가 온 뒤에 땅이 더 굳어진다. 우리가 힘을 합치면 철판도 뚫을 수 있다”며 단합을 강조했다.
하지만 불씨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당내 경선 때부터 패인 불신의 골은 이번 갈등으로 더욱 깊어졌다. 박근혜 계인 김학원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에서 “결코 내면적으로 신뢰가 회복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친이명박 쪽 인사들은 내심 박 전 대표 쪽이 억지를 부렸다고 판단한다. 이날 열린 공천심사위에서 일부 ‘친이’ 쪽 심사위원은 “개혁 공천을 해야 한다. (부패 전력자의 공천신청 금지 규정을 완화하자는) 최고위 결정을 독립기구인 공천심사위가 따를 이유가 없다”고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안팎에선 공천 접수 뒤 이어질 개별 심사 과정에서 또한번 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천심사위는 지역별로 공천심사를 한 뒤 2월 말이나 3월 초 쯤 지역구별 후보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 영남권 의원은 “개별 심사 과정에서 탈락자들이 어떤 식으로든 억울함을 호소할 것이고, 이런 일들이 쌓이면 언제든지 큰 갈등으로 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