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사실 유포’ 고소·고발 잇따라
후보자들간의 고소·고발전과 ‘치고 빠지기’식 흑색선전은 선거 마지막까지 기승을 부렸다.
서울 노원을에 출마한 우원식 통합민주당 후보 쪽은 8일 “지난 7일 오후께 ‘우원식 운동원이 중계3동에서 현금을 살포하다 적발돼 경찰에 끌려갔음’이란 문자 메시지가 유권자들에게 뿌려진 뒤 30분여 뒤 ‘조금 전 보내드린 문자는 잘못된 정보로 정정합니다’란 문자가 왔다”며 “이는 조직적인 흑색선전으로 선거관리위원회와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말했다. 이에 권영진 한나라당 후보 쪽은 “허위사실을 부풀린 일방적인 주장으로 고도의 흑색선전을 벌이고 있다”고 반박했다.
같은 당의 최재천 후보(서울 성동갑) 쪽은 “진수희 한나라당 후보가 유세 도중 성범죄 근절을 위한 전자팔찌법 표결에서 최 후보가 반대표를 던졌다고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며 지난 7일 진 후보를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선관위에 고발했다. 진 후보는 이날 “사실과 다른 내용을 말한 것에 유감을 표한다”고 사과했다.
맞고소도 적지 않았다. 서울 강북갑 지역에서도 정양석 한나라당 후보 쪽이 ’오영식 민주당 후보 사무국장이 당원에게 금품을 전달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오 후보가 정 후보를 선관위에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발했다. 경기 의정부을에서도 지난 3일 한나라당 박인균 후보가 “강성종 민주당 후보가 확정되지 않은 광역철도 노선을 유권자들에게 허위로 유포했다”며 검찰에 고소한 데 대해 강성종 민주당 후보도 “박 후보가 사실을 왜곡했다”며 맞고소했다. 경남 김해을에 출마한 최철국 민주당 후보는 지난 6일 “송은복 한나라당 후보가 후보자 방송 토론에서 의정활동 평균 출석률이 27%며, 10번 가운데 7~8번꼴로 결석했다는 사실과 다른 허위를 공표했다”고 검찰에 고발했다. 이에 송 후보 쪽은 “아무런 하자가 없는 확인된 정보를 인용했다”며 맞대응할 뜻을 밝혔다.
지난 17대 국회 때는 당선 유·무효를 결정짓는 63건의 재판이 열려 11명의 국회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했다.
[한겨레 관련기사]
▶ “여 ‘표쏠림’ 뚜렷 160~180석…민주 75~90석 예상”
▶ ‘요동치는 민심’ 격전지 5곳…민주 ‘서울 핵심 방어선’ 구로을 엎치락뒤치락
▶ 이슈는 ‘이슈없음’ 공천 갈등만 부각
▶ 50%선 부동층, 안정론-견제론 희비 가를 듯
▶ ‘한 표라도 더’ 유세는 끝나고…9일밤 어느 후보가 웃을까?
성연철 강희철 기자 sychee@hani.co.kr
▶ “여 ‘표쏠림’ 뚜렷 160~180석…민주 75~90석 예상”
▶ ‘요동치는 민심’ 격전지 5곳…민주 ‘서울 핵심 방어선’ 구로을 엎치락뒤치락
▶ 이슈는 ‘이슈없음’ 공천 갈등만 부각
▶ 50%선 부동층, 안정론-견제론 희비 가를 듯
▶ ‘한 표라도 더’ 유세는 끝나고…9일밤 어느 후보가 웃을까?
성연철 강희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