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당화합으로 신뢰회복”
총리를 포함한 내각 총사퇴가 임박하자 ‘박근혜 총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친이명박 성향의 공성진 의원은 9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국정 위기상황을 돌파할 만한 인물로 박 전 대표 만한 사람이 없다”며 “당 화합, 보수 결집 등 여러 측면에서 적합하다”고 말했다. 친박 쪽인 서병수 의원도 “박 전 대표를 총리로 기용하면 당내 화합으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고, 박 전 대표로서도 부족한 국정경험을 보완하는 상생 카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에서도 박근혜 총리론이 거론되고 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박 전 대표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며 “민심을 전환시켜 쇠고기 정국을 정면돌파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은 “개인적으로 말할 처지에 있지 않고 의견도 없다”면서도 “다만, 박 전 대표가 당내는 물론 다른 곳에서도 큰 역할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박 전 대표 주변도 가능성을 닫지 않고 있다. 비서실장격인 유정복 의원은 “청와대로부터 어떤 제안도 없었다”면서도 “진정성을 담아 제안을 하면 그때 새로 고민을 시작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측근은 “총리직이든 당 대표직이든 청와대 쪽이 ‘박 전 대표밖에 없다, 위기에 빠진 나라를 구해달라’는 부탁을 한다면 박 전 대표도 거절할 명분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한 이명박계 의원은 “이 대통령은 자신이 국정 주도권을 확실히 회복한 뒤 권한 배분을 하고 싶어하는데, 박 전 대표에게 총리를 맡기면 급격한 레임덕 현상을 맞을 수 있다”며 “박 전 대표가 대통령의 권위를 인정하고 협력할 마음의 준비가 돼 있는지도 불분명하다”고 말했다. 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조용히 추진해야 효과가 있지 이렇게 다 알려지면 아무 효과가 없다. 무슨 감동이 있겠느냐”며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박 전 대표 카드가 국민 요구에 맞는 처방인지도 의문이다. 한 재선의원은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쇠고기 재협상인데 보수결집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 2일 이 대통령과 강재섭 대표가 만나 민심수습책으로 친박복당 문제 해결을 내놨을 때도 “쇠고기 재협상을 하랬더니 무슨 친박복당이냐”는 싸늘한 여론이 적지 않았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