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첫 국감 마감날까지
야 “구본홍 임명철회가 최선”
31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실 국정감사에서는 100일을 넘긴 <와이티엔>(YTN) 사태 등 현 정권의 언론장악 문제가 초점이 됐다.
조정식 민주당 의원은 “5공 이래 최대 언론 학살이라고도 하는 와이티엔 사태가 청와대 고집과 외면으로 더 악화되고 있다”며 “가장 빠른 해결 방법은 구본홍씨의 사장 임명 철회”라고 말했다. 이에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어제 지체됐던 월급이 지급되는 등 한 걸음 한 걸음씩 정상화로 나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와이티엔 사태는 노사 당사자가 알아서 할 일이다. 언론의 자율을 이야기하면서 청와대에 구 사장을 사퇴시키라고 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변인은 “구본홍씨 사장 선임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느냐”는 서 의원의 추궁엔 “최소한 와이티엔 주주총회에 가선 압력을 행사하지 않았다”고 궁색한 답을 내놨다. 이 대변인은 또 “와이티엔 사장 선임 추천위원회에 노조위원장도 참여했다”고 말했지만 “노조위원장은 6명의 사장추천위 인사 중 1명이었을 뿐이며 구 사장 추천에 분명히 반대했다”는 서 의원의 반박에 “절차상의 문제는 없다는 뜻이었다”고 물러섰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이동관 대변인,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과 김회선 국정원 2차장이 참석한 ‘8·11 언론대책회의’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서갑원 의원은 “당시 방통위원장을 비롯해 청와대와 당의 언론 정책을 담당하는 이 대변인과 나 의원이 만나는 자리에 테러나 대간첩 업무 말고는 다른 업무에 관여할 수 없도록 돼 있는 국정원 직원이 만난 게 우연치고는 너무 심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이 대변인은 “정치 개입 우려가 있으면 몰라도 통상적인 협의라면 참석할 수도 있지 않느냐”고 답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