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치” “폐지” 정반대 목소리
‘보수개혁’ ‘MB신임’ 배경 달라
‘보수개혁’ ‘MB신임’ 배경 달라
한나라당의 원내 ‘러닝메이트’ 홍준표 원내대표와 임태희 정책위의장이 종합부동산세를 두고 결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종부세 존치 여부에서 두 사람의 견해차는 도드라진다. 홍 원내대표는 17일 <문화방송>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종부세를 재산세와 통합하게 되면 부자들 세금을 깎아주고 서민들 세금을 늘려 이를 보충하려 한다는 정치적 오해를 심하게 받기에 종부세는 종부세대로 존치하고 재산세는 재산세대로 운용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그러나 임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종부세와 재산세를 따로 분리하면 세제가 너무 복잡하고 종부세는 이대로 두면 징벌적 성격의 부유세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는 둘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종부세 폐지론에 무게를 실었다. 3년을 종부세 대상 1주택 장기보유 기준으로 삼자는 부분에서도 홍 원내대표는 짧다는 생각인 반면, 임 의장은 “고려해볼 수 있다”는 태도다.
둘의 견해차는 서로 다른 정치적 배경 때문으로 분석된다. 홍 원내대표는 그동안 ‘반값 아파트 법안’ 발의, 국적법·재외동포법 개정 추진 등을 통해 ‘서민 정치인’ 이미지를 쌓아왔다. 지난해 대선후보 경선 당시에도 그는 ‘서민 대통령’을 간판 구호로 내세웠다. 최근엔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없으면 정권교체 주기가 빨라질 수 있다”며 보수대개혁도 주장했다. 그런 만큼 ‘부자 정당으로 흐른다’는 시선을 부담스러워하기 마련이다. 종부세 대상자가 거의 없는 동대문을이 지역구란 점도 어느 정도 작용한 듯하다. 한 초선 의원은 “홍 대표는 민심의 추이를 빨리 간파해 정치적 활로를 개척하는 스타일”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임태희 의장은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을 지낼 정도로 청와대의 신임이 두텁다. 원내대표 후보 경합이 벌어질 때 이미 청와대에선 그를 정책위의장으로 낙점해 둔 상태였다. 청와대와 정부의 의중을 그만큼 충실히 읽는다는 것이다. 다가올 개각에서 입각설도 있다. 지역구 역시 종부세 대상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성남분당을이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