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전대통령 검찰 출석]
노무현 전 대통령이 소환된 30일, 여야는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다소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원칙론’을 폈다. 조윤선 한나라당 대변인은 “전직 대통령이 불미스런 일로 법의 심판을 받는 게 노무현 전 대통령이 마침표가 되기를 염원한다”며 “노 전 대통령은 대통령이나 변호사가 아닌 자연인 노무현으로서 진실을 성실히 밝히고, 검찰도 신중하게 철저히 증거에 따라 수사해야한다”고 말했다. 4·29 재보선에서 참패한 한나라당 안에선 노 전 대통령 공개소환이 민심의 역풍을 일으킬 수 있다며 불구속 수사를 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주당은 노 전 대통령의 소환에 “불행한 역사가 반복되고 있다”면서도 검찰의 정치적 중립을 촉구했다. 김유정 대변인은 논평에서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안타깝고 불행한 일이다. 오늘 수사를 끝으로 모든 진실이 다 규명되길 바란다”며 “모든 의혹의 한가운데 서 있는 천신일 회장 등 살아 숨쉬는 권력 실세들에 대한 수사도 즉각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선영 자유선진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은 국민을 끝까지 배반할 생각이 아니라면 검찰 수사에 성실히 임해야한다. 하지만 검찰이 가능하면 불구속 수사를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고 말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과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도 각각 논평을 통해 철저한 진실 규명과 함께 현 여권의 권력 실세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청와대는 노 전 대통령 소환에 대해 최대한 언급을 피하며 신중한 모양새를 취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도 답변을 일절 하지 않았다. 노 전 대통령의 처리에 관해서는 ‘불구속 기소’해야 한다는 기류에 좀 더 많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전직 대통령에 대한 예우는 갖춰야 한다”고 말했으며, 다른 관계자는 “이미 노 전 대통령이 정치적 상처를 깊게 입었는데, 구속까지 할 경우 오히려 역풍이 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황준범 이정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