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닥속닥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왼쪽)와 김태환 의원이 3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세종시 갈등 확산
‘원안고수’ 주장에 반격
“대운하 수정은 괜찮나” “팔이 부러져 정형외과로 달려가다,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빨리 심장 전문병원으로 차를 돌려야 한다. 박근혜 전 대표의 태도는 정형외과 의사와 약속했다고 해서 심장이 멈추려 하는데도 정형외과로 가자고 고집하는 것이다.” 한나라당 친 이명박계의 고위 당직자는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근혜 전 대표의 최근 행보를 이렇게 비꼬았다. 침묵하던 친이계가 3일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해 총반격에 나섰다. 지난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 대선캠프인 ‘안국포럼’ 출신 의원들은 “국민과의 약속도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논리를 앞세워 박 전 대표를 비판했다. 강승규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에 출연해 “어떤 정책 결정이나 논의가 있었더라도 시대적 상황이나 좀 더 효율적 방법이 나오면 다시 논의할 수 있다”며 “세종시가 교육과학비지니스도시로 특화할 경우 교육과학부가 내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대안은 교육과학비즈니스 도시라는 얘기로 해석된다. 안국포럼 출신인 또 다른 초선의원도 “박 전 대표의 기준에서 보면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운하를 그대로 시행하지 않고 4대강 건설로 변형한 것도 있을 수 없는 일 아니냐”며 “세종시 원안 고수론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의 친이 직계 한 의원은 “이 문제는 결국 국민투표로 해결 할 수밖에 없는 사안으로, 박 전 대표의 배수진 전략은 결국 족쇄가 될 것”이라며 “박 전 대표는 승부수를 던졌지만 너무 조급했다”고 주장했다.
52명의 의원이 가입한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도 이날 밤 모임을 열어 세종시 수정론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국민과 약속 이행 논쟁”
친이쪽에 심한 불쾌감 “터무니없는 정치 싸움으로 몰아가지 마라.”(친박근혜 계파의 한 의원)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원칙적 발언을 내년 대선을 겨냥한 행보로 해석하는 데 대해 3일 친박 진영은 극도의 불쾌감을 드러냈다. 일부 언론이 박 전 대표의 세종시 관련 발언을 ‘정운찬 총리 견제용’으로 해석한 데 대한 불만이다. ‘국민과의 약속 실천’과 ‘지방 균형발전’이란 박 전 대표의 신념이 자칫 권력 다툼이란 틀에 갇혀 왜곡될 수 있다는 게 친박 진영의 우려다. 세종시 문제에 대한 당내 밀실 논의 양상을 지적하며 전날 사무부총장직을 사퇴한 이성헌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 등에 출연해 “(세종시 문제는) 국민에게 했던 약속을 제대로 지키려고 하는 사람들과 약속을 변경할 수도 있다는 사람 사이의 (논쟁) 과정”이라며 “박 전 대표와 정 총리가 차기를 겨냥해 싸우는 것으로 보는 것은 지극히 왜곡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격인 유정복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세종시 문제를 차기 대권 싸움인양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일은 일고의 가치도 없는 일”이라며 “박 전 대표는 누구보다 대권 행보를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행정도시법 통과 당시 한나라당에서도 기권 등 반대가 적지 않아 당이 국민에게 약속을 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친이명박계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도 친박계는 발끈했다. 허태열 최고위원은 “당시 당내 진통이 심했지만 결국 의원총회 등을 통해 당론이 찬성으로 정리됐다”며 “그런 주장은 충청도민을 전혀 납득시킬 수 없는 너무나 박덕한 논리”라고 비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대운하 수정은 괜찮나” “팔이 부러져 정형외과로 달려가다,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빨리 심장 전문병원으로 차를 돌려야 한다. 박근혜 전 대표의 태도는 정형외과 의사와 약속했다고 해서 심장이 멈추려 하는데도 정형외과로 가자고 고집하는 것이다.” 한나라당 친 이명박계의 고위 당직자는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근혜 전 대표의 최근 행보를 이렇게 비꼬았다. 침묵하던 친이계가 3일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해 총반격에 나섰다. 지난 대선 당시 이명박 후보 대선캠프인 ‘안국포럼’ 출신 의원들은 “국민과의 약속도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논리를 앞세워 박 전 대표를 비판했다. 강승규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에 출연해 “어떤 정책 결정이나 논의가 있었더라도 시대적 상황이나 좀 더 효율적 방법이 나오면 다시 논의할 수 있다”며 “세종시가 교육과학비지니스도시로 특화할 경우 교육과학부가 내려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대안은 교육과학비즈니스 도시라는 얘기로 해석된다. 안국포럼 출신인 또 다른 초선의원도 “박 전 대표의 기준에서 보면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대운하를 그대로 시행하지 않고 4대강 건설로 변형한 것도 있을 수 없는 일 아니냐”며 “세종시 원안 고수론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의 친이 직계 한 의원은 “이 문제는 결국 국민투표로 해결 할 수밖에 없는 사안으로, 박 전 대표의 배수진 전략은 결국 족쇄가 될 것”이라며 “박 전 대표는 승부수를 던졌지만 너무 조급했다”고 주장했다.
52명의 의원이 가입한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도 이날 밤 모임을 열어 세종시 수정론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국민과 약속 이행 논쟁”
친이쪽에 심한 불쾌감 “터무니없는 정치 싸움으로 몰아가지 마라.”(친박근혜 계파의 한 의원)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원칙적 발언을 내년 대선을 겨냥한 행보로 해석하는 데 대해 3일 친박 진영은 극도의 불쾌감을 드러냈다. 일부 언론이 박 전 대표의 세종시 관련 발언을 ‘정운찬 총리 견제용’으로 해석한 데 대한 불만이다. ‘국민과의 약속 실천’과 ‘지방 균형발전’이란 박 전 대표의 신념이 자칫 권력 다툼이란 틀에 갇혀 왜곡될 수 있다는 게 친박 진영의 우려다. 세종시 문제에 대한 당내 밀실 논의 양상을 지적하며 전날 사무부총장직을 사퇴한 이성헌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 등에 출연해 “(세종시 문제는) 국민에게 했던 약속을 제대로 지키려고 하는 사람들과 약속을 변경할 수도 있다는 사람 사이의 (논쟁) 과정”이라며 “박 전 대표와 정 총리가 차기를 겨냥해 싸우는 것으로 보는 것은 지극히 왜곡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격인 유정복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세종시 문제를 차기 대권 싸움인양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는 일은 일고의 가치도 없는 일”이라며 “박 전 대표는 누구보다 대권 행보를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행정도시법 통과 당시 한나라당에서도 기권 등 반대가 적지 않아 당이 국민에게 약속을 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친이명박계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도 친박계는 발끈했다. 허태열 최고위원은 “당시 당내 진통이 심했지만 결국 의원총회 등을 통해 당론이 찬성으로 정리됐다”며 “그런 주장은 충청도민을 전혀 납득시킬 수 없는 너무나 박덕한 논리”라고 비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