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한나라당 세종시 특별위원회 위원장(오른쪽)과 위원들이 17일오전 국회에서 열린 특위 2차 회의에서 세종시 기본 계획도를 살펴보며 이야기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정부 1월 대학병원 등 건설 ‘양해각서’ 체결
대구·오성 의료복합단지와 중복투자 논란
여당서도 ‘수정론 반발’…“혁신도시까지 불신”
대구·오성 의료복합단지와 중복투자 논란
여당서도 ‘수정론 반발’…“혁신도시까지 불신”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지난 1월 미국 투자회사인 시시아이(CCI)와 세종시에 240만평 규모의 대학병원을 짓는 등 첨단의료복합단지를 건설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8월 정부가 대구와 충북 오송에 첨단의료 복합단지를 건설하기로 확정한 상황이어서 이들 지역의 반발과 중복투자에 따른 비효율 논란이 예상된다.
<한겨레>가 18일 입수한 행정도시건설청의 엠오유 체결 현황을 보면, 행정도시건설청은 지난 1월 시시아이가 30% 지분을, 국내 자본이 70%의 지분을 각각 투자하는 것을 뼈대로 한 첨단의료복합단지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투자양해각서 체결 사실을 공개하지 않았다. 정부가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세종시 건설을 추진하면서도 대구와 충북 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을 이중으로 추진한 셈이다.
이 밖에도 정부가 세종시 입주 기업에 토지공급가격 인하, 자유개발권 부여 등 각종 특혜를 약속하며 대대적인 기업유치에 나서자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여당 안에서도 터져나오고 있다. 박재순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광주전남 혁신도시 이전이 확정된 한국전력공사의 세종시 이전설이 지역에 큰 파장을 일으키면서 호남 민심을 자극하고 있다”며 “정부는 혁신도시를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하는데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게 될 126개 기관 대부분이 부지매입 계약조차 못해 불신이 초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김천이 지역구인 이철우 의원은 “롯데그룹이 김천 혁신도시에 맥주공장을 지으려 했는데 정부의 압박으로 세종시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한 방 맞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대구가 지역구인 이명규 의원도 이날 지역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세종시 때문에 그 이남의 공단들이 공동화된다면 차라리 세종시가 원안대로 가는 게 맞지 않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 영남지역 재선 의원은 “정부가 세종시에 특혜라 할 만한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앞으로 다른 지방자치단체들이 ‘우리는 왜 해주지 않느냐’고 형평성 문제를 들고 나오면 수습하기가 어려워진다”고 우려했다.
한나라당 공식 기구에서도 정부의 대대적인 세종시 기업유치에 따른 부작용을 지적했다. 정의화 당 세종시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정부가 당과 협의도 없이 어떤 기업이 간다고 자꾸 발표를 해 혼란을 초래하는 면이 있다”며 “정부가 너무 밀어붙이지 말고 충분히 당과 논의를 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 위원장은 전날 특위 회의에서 정부의 세종시 법개정 방침 공개 등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며 “정부의 들러리 역할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열린 당 세종시 특위에서 이계진 의원도 “정부가 이런 식으로 드라이브를 걸면 당 특위가 무슨 존재 가치가 있느냐”고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