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뼘정치]
2년전 공천헌금 입길 ‘악몽’
아예 싹 자르기 “속 편해”
2년전 공천헌금 입길 ‘악몽’
아예 싹 자르기 “속 편해”
“중앙당 공천심사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어 당분간 개인후원회를 닫게 되었습니다.”
김선동 한나라당 의원은 11일 홈페이지에 돌출 공지화면을 띄웠다. 김 의원은 전날 6·2 지방선거 공천심사위원으로 임명됐다. 함께 공심위원이 된 유정복 의원도 홈페이지에 “공정하고 투명하고 깨끗한 공천이 이뤄져야 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분명히 하고자 개인 후원계좌를 폐쇄하게 됨을 알려드립니다”란 공고를 띄웠다.
이들이 후원회 계좌를 폐쇄한 것은 지방선거 공천 후보자들한테서 들어올 수 있는 ‘부적절한’ 후원금을 차단하겠다는 뜻이 들어있다. 자칫 ‘공천헌금’을 받았다는 구설에 휘말릴 가능성의 싹을 아예 자르겠다는 것이다. 중앙선관위가 매년 국회의원 후원금 내역을 공개할 때마다 드러나는 지역구 소속 단체장과 기초 및 광역 의원들의 ‘보험성’ 후원금의 존재로 미뤄, 공천을 전후한 때의 후원금 수입이 짭짤하겠지만 자칫 정치생명이 위태로워질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실제 과거 사례도 있다. 동료 시의원들에게 금품을 돌려 2008년에 구속된 김귀환 전 서울시의장의 후원금을 홍준표 의원과 권택기 의원이 받아 곤욕을 치른 게 대표적이다. 유정복 의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공심위원으로 활동하는 동안은 아예 후원 계좌를 닫아두는 게 훨씬 더 떳떳하고 한편으론 속 편하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