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불체포특권’ 포기 등 결의
검증단 만들어 검찰 철저한 수사 압박
당 일각선 “소환설 나오는 ‘형님’ 겨냥”
박위원장 “1월 중순까지 공천 쇄신안”
검증단 만들어 검찰 철저한 수사 압박
당 일각선 “소환설 나오는 ‘형님’ 겨냥”
박위원장 “1월 중순까지 공천 쇄신안”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27일 첫 회의부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 공격에 연루된 최구식 의원에게 자진탈당을 권유하고, 국회의원의 불체포 특권을 포기하기로 한 것은 ‘극약처방’이 아니고선 싸늘해진 민심을 되돌릴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날 비대위 회의에선 김종인 위원이 “디도스 문제는 확실히 정리하고 가야 한다”고 운을 뗐다. 나머지 비대위원들도 최 의원의 탈당과 검찰 수사 결과에 대한 의혹 검증단을 만들자는 데 찬성했다. 박근혜 위원장은 최 의원에게 자진탈당을 권유하자고 정리한 뒤 “검찰이 수사를 부진하게 해서 특검으로 넘어가게 하는 불명예를 안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황영철 대변인은 “검찰 수사가 국민 의혹을 해소하지 못하면 국정조사든 특검이든 다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국민 정서가 윗선의 개입이 없었다는 것을 납득하기 어려운 만큼 일단 당이 나서 검찰을 압박하는 초강수를 던지는 한편, 최 의원에게는 일단 정치적 책임을 물어 당이 부담을 터는 선택을 한 셈이다. 이에 최 의원 쪽은 즉각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의원의 불체포 특권 포기 선언은 기득권 포기 없이는 “뼈를 깎는 쇄신”, “재창당을 넘어선 쇄신”이 공허한 구호에 그칠 것이라는 절박함에서 나온 것 같다. 박 위원장은 회의 도중 한 참석자가 “이 문제는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뜻을 모아봐야 한다”고 하자 “그건 여기서 정리를 하면 된다”고 일축했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뭐라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놔야 한다고 다들 생각했다”며 “공천 개혁 등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선언적인 의미의 불체포 특권 포기를 채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 뒤 황영철 대변인이 “정치권 부패에 대한 검찰 수사는 성역 없이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한 대목도 불체포 특권 포기와 연관돼 눈길을 끈다. 검찰에 대통령 친인척 비리나 여권 인사 연루 의혹 등에 대해 강도 높은 수사를 할 것을 우회적으로 촉구하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당내 한쪽에선 검찰 소환설이 나오는 이상득 의원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한나라당은 일단 의원 불체포 특권이 헌법에 보장돼 개정이 어려운 만큼 이를 어길 시 ‘해당행위 규정’ 등을 당헌당규에 신설해 강제성을 띠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비대위는 이날 학교 폭력, 왕따 문제와 관련해 현장 방문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비대위는 정치쇄신, 정책쇄신, 국민소통, 인재영입 등 4개 분과를 운영하기로 했다. 박 위원장은 “공천 쇄신안을 1월 중순까지는 내야 한다”며 “회의를 일주일에 한번으로 줄여 현장에 자주 가도록 하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