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
박근혜 모호한 공천 태도 비판
“소임은 이것으로…” 비대위 물러날 뜻 비쳐
‘경제 민주화’ 인사 공천에 대해서도 우려 김종인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이 28일 “(공천에 관한) 박근혜 위원장의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새누리당 공천위원회(정홍원 위원장)는 전날 비대위의 재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이재오 의원 등이 포함된 1차 공천 명단을 그대로 확정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위원장으로 있는 비대위 정책쇄신 분과 회의에 나와 “오늘이 마지막 회의라고 생각한다”며 “더 이상 정책쇄신에 대한 특별한 아이템도 없고, 결과적으로 비대위원으로서의 기능도 다 되지 않았나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어제 공천발표하는 것을 보니까 더이상 (정책 분과가) 선거에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같지도 않다. 나의 소임은 이것으로 그치는 것으로...”라며 사실상 비대위원에서 물러날 뜻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전날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비대위 의결 전에 미리 1차 공천 명단을 공개하고 결국 원안 그대로 의결한 것이 결국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뜻대로 된 것 아니냐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그는 “어제 같은 회의는 이해가 안 간다. 미리 각본을 정해놓은 걸 뭐하려 회의를 하느냐”며 “박 위원장의 의중과 공천위의 의중이 같은 것 아니냐”고 했다. 그는 “비대위서 공천심사안을 놓고 표결하고 있는 과정 속에서 공심위원장이 나와서 발표를 하고... 비대위를 왜 했는지 모르겠다”며 “상식적으로 공당에서 공천위원장이라는 사람이 얼마나 감정에 북받쳤는지는 모르지만...”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는 “어제 공천위의 공천위 명단 사전 발표는 절차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비대위에서 박근혜 위원장이 이 명단을 접수할 거냐 말거냐 논의 중인데 공천위원장이 나가서 명단을 기자들에게 발표하는 것은 통상적인 조직에서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지 모르겠다. 나는 (이런 점이) 박 위원장의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고 생각한다.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박 위원장에게 사전에 이야기하지 않고 임의로 그렇게 하진 않을 것 아니냐”고 했다. 사실상 전날 1차 공천을 둘러싼 소동이 박 비대위원장과 정 공천위원장 사이에 모종의 교감하게 이뤄진 것이라는 의구심을 강하게 표시한 것이다. 전날 새누리당 정홍원 공천 위원장은 비대위 회의 도중 기자실로 내려와 공천 명단을 발표했다. 이어 비대위가 이재오 의원 등 21명의 공천 명단에 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재의를 요구했지만 이날 오후 즉시 공천위 회의에서 원래 명단을 재의결해 통과시켰다. 이를 두고 당 안팎에선 ‘공천위가 박 위원장의 의중을 읽고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정책 쇄신분과의 이양희 비대위원도 인적 쇄신에 관해 “인(人)이 없는(빠진) ‘적쇄신’만 하느냐?”고 김 위원의 뜻에 공감을 표시했다. 김 위원은 자신이 강조해 당 정강정책에 들어간 ‘경제 민주화’를 실천할 인사들이 공천에 포함되지 않을 것 같다는 우려도 했다. 그는 “(경제 민주화라는) 바탕을 마련했으니 실천할 분들 의회에 많이 들어가야 하고 공천과정에 많이 참작돼야 하는데 국민과의 약속에서 내세운 실천을 방해하려는 세력이 당내에 더 많다”며 “솔직히 대기업의 임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국회의원들 우리 손안에 들어있다면서 걱정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들이 많다. 심지어 자기들 이익 대변할 의원들을 공천에 적극 영향을 발휘해서 당선시켜 상임위원장 맡기면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건 하나의 장식품에 불과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 위원장이 (이를) 참작하고 이번 공천 과정에 반영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어제 공천 1차 내용 보니 별로 그런 의지가 담겨 있지 않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공천위-비대위 4시간 기싸움 끝에 ‘도로 한나라당’
■ 새누리 ‘광우병 파동’ 농림부장관 정운천 공천
■ 한명숙 “투신사건 송구” 사과
■ 이동관 “내 시체 밟고 넘어라” 누리꾼 “축구화…”
■ ‘해품달’ PD도 “파업 적극지지, 사쪽은 곡해 말라”
‘경제 민주화’ 인사 공천에 대해서도 우려 김종인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이 28일 “(공천에 관한) 박근혜 위원장의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새누리당 공천위원회(정홍원 위원장)는 전날 비대위의 재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이재오 의원 등이 포함된 1차 공천 명단을 그대로 확정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위원장으로 있는 비대위 정책쇄신 분과 회의에 나와 “오늘이 마지막 회의라고 생각한다”며 “더 이상 정책쇄신에 대한 특별한 아이템도 없고, 결과적으로 비대위원으로서의 기능도 다 되지 않았나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어제 공천발표하는 것을 보니까 더이상 (정책 분과가) 선거에서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같지도 않다. 나의 소임은 이것으로 그치는 것으로...”라며 사실상 비대위원에서 물러날 뜻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전날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비대위 의결 전에 미리 1차 공천 명단을 공개하고 결국 원안 그대로 의결한 것이 결국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뜻대로 된 것 아니냐며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그는 “어제 같은 회의는 이해가 안 간다. 미리 각본을 정해놓은 걸 뭐하려 회의를 하느냐”며 “박 위원장의 의중과 공천위의 의중이 같은 것 아니냐”고 했다. 그는 “비대위서 공천심사안을 놓고 표결하고 있는 과정 속에서 공심위원장이 나와서 발표를 하고... 비대위를 왜 했는지 모르겠다”며 “상식적으로 공당에서 공천위원장이라는 사람이 얼마나 감정에 북받쳤는지는 모르지만...”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는 “어제 공천위의 공천위 명단 사전 발표는 절차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비대위에서 박근혜 위원장이 이 명단을 접수할 거냐 말거냐 논의 중인데 공천위원장이 나가서 명단을 기자들에게 발표하는 것은 통상적인 조직에서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지 모르겠다. 나는 (이런 점이) 박 위원장의 태도가 굉장히 모호하다고 생각한다.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박 위원장에게 사전에 이야기하지 않고 임의로 그렇게 하진 않을 것 아니냐”고 했다. 사실상 전날 1차 공천을 둘러싼 소동이 박 비대위원장과 정 공천위원장 사이에 모종의 교감하게 이뤄진 것이라는 의구심을 강하게 표시한 것이다. 전날 새누리당 정홍원 공천 위원장은 비대위 회의 도중 기자실로 내려와 공천 명단을 발표했다. 이어 비대위가 이재오 의원 등 21명의 공천 명단에 관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재의를 요구했지만 이날 오후 즉시 공천위 회의에서 원래 명단을 재의결해 통과시켰다. 이를 두고 당 안팎에선 ‘공천위가 박 위원장의 의중을 읽고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정책 쇄신분과의 이양희 비대위원도 인적 쇄신에 관해 “인(人)이 없는(빠진) ‘적쇄신’만 하느냐?”고 김 위원의 뜻에 공감을 표시했다. 김 위원은 자신이 강조해 당 정강정책에 들어간 ‘경제 민주화’를 실천할 인사들이 공천에 포함되지 않을 것 같다는 우려도 했다. 그는 “(경제 민주화라는) 바탕을 마련했으니 실천할 분들 의회에 많이 들어가야 하고 공천과정에 많이 참작돼야 하는데 국민과의 약속에서 내세운 실천을 방해하려는 세력이 당내에 더 많다”며 “솔직히 대기업의 임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국회의원들 우리 손안에 들어있다면서 걱정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들이 많다. 심지어 자기들 이익 대변할 의원들을 공천에 적극 영향을 발휘해서 당선시켜 상임위원장 맡기면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건 하나의 장식품에 불과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 위원장이 (이를) 참작하고 이번 공천 과정에 반영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어제 공천 1차 내용 보니 별로 그런 의지가 담겨 있지 않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공천위-비대위 4시간 기싸움 끝에 ‘도로 한나라당’
■ 새누리 ‘광우병 파동’ 농림부장관 정운천 공천
■ 한명숙 “투신사건 송구” 사과
■ 이동관 “내 시체 밟고 넘어라” 누리꾼 “축구화…”
■ ‘해품달’ PD도 “파업 적극지지, 사쪽은 곡해 말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