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완전 국민경선’ 주장
현행 ‘일반국민+여론조사’ 50%
2007년도 MB-박근혜 갈등
현행 ‘일반국민+여론조사’ 50%
2007년도 MB-박근혜 갈등
2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경기지사를 비롯해 정몽준, 이재오 의원 등 비박근혜계 주자들이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완전국민참여경선(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친박계가 반대하고 있어 새누리당 안에서 대선 경선 규칙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일어날 조짐이다.
김 지사 등은 당 대선 후보를 뽑는 투표를 일반 국민에게 완전히 개방하는 게 본선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는 명분을 내세운다. 그러나 여기엔 이른바 ‘당심’의 반영 비율을 최대한 줄이지 않으면 승산이 없다는 판단이 반영되어 있다. 현재 새누리당 당규엔 대선 경선은 국민참여경선인단 80%와 여론조사 20%를 반영해 치르도록 돼 있다. 국민참여경선인단은 대의원, 일반 당원, 일반 국민을 2-3-3의 비율로 구성하도록 돼 있다. ‘박근혜 당’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당을 장악한 상황에선 비박 주자들로서는 50%에 이르는 대의원과 일반 당원의 비율을 줄이지 않으면 불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김 지사 등이 당원, 국민 가릴 것 없이 100% 국민참여 방식으로 바꾸자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하지만 친박계는 김 지사가 주장한 완전국민참여경선제 도입에 부정적이다. 서병수 의원은 “후보 개개인이 출마할 때마다 유불리를 따져서 경선 룰을 바꾸자는 것은 예측 가능한 시스템을 무너뜨리자는 것”이라며 “인위적으로 룰을 바꾸자는 것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 친박 의원도 “현행 당헌 당규에 정해진 대로 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한 친박 참모는 “룰 이야기는 친이명박계의 전매 특허”라고 말했다.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 쪽이 내내 경선 룰을 바꾸려고 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다.
실제 새누리당은, 5년여 전 전신인 한나라당 당시 이명박, 박근혜, 손학규 후보가 경선 규칙을 놓고 한치 양보 없는 다툼을 벌인 경험이 있다. 당시 손학규 후보는 아예 경선 룰이 기득권을 그대로 옹호한다며 탈당했고, 이명박-박근혜 두 후보는 경선 룰을 두고 손 후보의 탈당 뒤에도 두달가량 여론조사에 어느 정도 가중치를 두느냐를 두고 지루한 밀고 당기기를 계속했다. 결국 양쪽은 현재의 당규대로 룰 개정에 합의했지만 양쪽 감정의 골은 파일 대로 파였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KTX 민영화’ 찬성 23%<반대 66%
■ 양지로 나온 ‘포르노’
■ 또 청와대 방해작전? 김문수 출마선언에 친박계 ‘불쾌’
■ MBC 보도제작국 해체 ‘보복성’ 조직개편 논란
■ 북 신형 미사일이 가짜?
■ ‘KTX 민영화’ 찬성 23%<반대 66%
■ 양지로 나온 ‘포르노’
■ 또 청와대 방해작전? 김문수 출마선언에 친박계 ‘불쾌’
■ MBC 보도제작국 해체 ‘보복성’ 조직개편 논란
■ 북 신형 미사일이 가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