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돌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월 영령들의 넋을 기리는 추모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광주/사진공동취재단
광주민주화운동 32돌 기념식
기념사도 안 보내…5월단체 ‘씁쓸’
김황식·박원순 등 2500명 참석
기념사도 안 보내…5월단체 ‘씁쓸’
김황식·박원순 등 2500명 참석
5·18 민중항쟁 32돌인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정부 주관으로 32돌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렸다. 기념식엔 5·18 유공자들과 김황식 국무총리,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박지원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강기갑 통합진보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박원순 서울시장 등 2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08년 기념식에 참석한 이후 올해까지 4년 연속 불참했다. 지난해에는 기념사를 보냈지만, 올해는 총리의 기념사로 대신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 5년 동안 해마다 기념식에 참여해 기념사를 했다.
김 총리는 기념사에서 “5·18은 우리나라 현대사의 물꼬를 민주화의 방향으로 틀어 돌린 큰 전환점”이라며 “5·18 정신을 이어받아 지역·계층·이념으로 나눠진 갈등을 대화와 타협으로 풀어가는 성숙한 민주주의를 꽃피우자”고 밝혔다. 이날 기념식은 2년 동안 투쟁의식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공식 식순에서 빠졌던 ‘님을 위한 행진곡’이 합창되는 등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다.
이 대통령의 잇따른 불참과 기념사 외면을 두고 5·18 관련 단체와 각계의 비판이 나왔다. 정수만 5·18유족회장은 “이 대통령이 최근 미얀마에서 아웅산 수치를 만나 민주주의에 힘쓴 점에 찬사를 보내더니, 민주화운동의 세계적인 본보기인 5·18을 몇해째 홀대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행보”라고 씁쓸해했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대통령의 태도는 5·18을 역사 교과서에서 삭제하고 가해자를 국립묘지에 안장한 현 정부 조처에 맥락이 닿아 있다”며 “이달 말 5월단체들과 함께 정부에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광주인권상을 받은 문정현 신부는 “5·18 기념식 연속 불참은 이 대통령의 편협한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국민들이 이런 상황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개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승복 취재했던 ‘조선’기자 사진보니, 이상한게…
■ 밖에선 ‘님’ 집에선 ‘남’ 남 보란 듯 살아요
■ 아리랑3호 쏘아올린 일본이 웃고 있는 이유
■ ‘전여옥, 엄청난 도둑질하고도 오히려 온갖 협박’
■ 당권파는 왜 버티는 걸까요? 잘하는 걸까요?
■ 이승복 취재했던 ‘조선’기자 사진보니, 이상한게…
■ 밖에선 ‘님’ 집에선 ‘남’ 남 보란 듯 살아요
■ 아리랑3호 쏘아올린 일본이 웃고 있는 이유
■ ‘전여옥, 엄청난 도둑질하고도 오히려 온갖 협박’
■ 당권파는 왜 버티는 걸까요? 잘하는 걸까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