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무소속 의원(앞줄 왼쪽 넷째)이 1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네트워크 내일’ 창립 심포지엄 시작에 앞서 참석자들과 함께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노회찬 진보정의당 대표, 김한길 민주당 대표, 송호창 의원, 안 의원, 이주영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소장, 최장집 내일 이사장.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정책네트워크 내일’ 창립심포지엄
“민주적 방법으로 양극화 개선”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등 참석
문캠프 인사들도 참여 눈길
“민주적 방법으로 양극화 개선”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등 참석
문캠프 인사들도 참여 눈길
안철수 무소속 의원의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내일)이 19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창립 심포지엄을 열고 ‘안철수 새정치’의 핵심 기조로 ‘진보적 자유주의’를 제시했다.
최장집 내일 이사장은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를 위한 제언’이라는 첫 발제를 통해 “민주 대 반민주, 반통일 냉전수구세력 대 좌경용공 친북세력 등 이분법적 관점인 국가주의적 단원주의 대신 다원주의적 민주주의를 제안한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이념이 진보적 자유주의”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치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향후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자유주의가 필요하다. ‘진보적’의 의미는 신자유주의의 시장근본주의 원리와 그로 인한 양극화와 불평등을 민주적 방법으로 개선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최 교수는 개선의 주체로 대안정당을 제시하고, 민주당도 변화의 방향으로 나갈 수 있다는 점을 짚으며 정치적 연대 가능성을 열어두기도 했다.
경제분야에선 김상조 한성대 교수가 ‘진보적 경제질서의 모색’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재벌개혁 등 공정한 시장경제질서의 확립과 함께 다수를 차지하는 경제적 약자들의 협상력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 복지분야는 김연명 중앙대 교수가 ‘한국 사회복지의 현 단계와 보편주의 복지국가의 과제’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안 의원은 심포지엄 들머리에 인사말을 통해 “우리 사회는 주거·보육·교육·노후·일자리 등 민생 기본영역에서 광범위한 불안에 시달리고 공동체의 안녕을 위협받고 있다. 이런 문제들은 미봉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근본 원인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며 “오늘 심포지엄이 공동체 복원의 첫발을 내딛는 좌표가 됐다고 여겨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안 의원은 자신의 새정치가 최 교수가 제시한 ‘진보적 자유주의’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않은 채 “최장집 교수 등 (주제 발표를 한) 세 교수와 열심히 토론하고 말을 나눴다. 오늘 논의를 바탕으로 법안·정책 등을 현실화하는 것은 저의 숙제다. 꼭 그렇게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안 의원의 한 참모는 “안 의원은 자신의 정치적 깃발을 진보적 자유주의로 명확히 규정하기보다, 향후 정책 등을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그런 가치가 포함되도록 노력하고 그것을 통해 평가받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심포지엄에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 노회찬 진보정의당 공동대표,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이주영 여의도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경제분야 토론자로 나선 이정우 경북대 교수 등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캠프’ 인사들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김한길 대표는 축사에서 “민주당과 내일이 토론을 통해 경쟁할 것은 경쟁하고 입법화 등 협력할 부분은 협력하겠다. 내일과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이 공동토론회 개최도 가능할 것”이라며 “2017년을 향한 동행의 지혜를 제시하는 정책네트워크 내일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여야, 전두환 추징시효 ‘10년 연장’ 사실상 합의
■ 삼성 출신 ‘구리왕’ 의문의 재산 1조 진상 드러날까
■ 다들 홍명보만 쳐다본다
■ 참치 맛 본 중국인 때문에…생선값 폭등
■ [화보] 인도 ‘최악의 홍수’…갠지스강 범람까지
■ [단독] 여야, 전두환 추징시효 ‘10년 연장’ 사실상 합의
■ 삼성 출신 ‘구리왕’ 의문의 재산 1조 진상 드러날까
■ 다들 홍명보만 쳐다본다
■ 참치 맛 본 중국인 때문에…생선값 폭등
■ [화보] 인도 ‘최악의 홍수’…갠지스강 범람까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