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전경. 자료사진
전해철 민주당 의원 조직원 제보 받아
‘유급망·특망’ 등 외부 조직원 동원
수십개 닉네임 공유 추천수 조작
특정후보 유리한 글 메인으로 이동
‘유급망·특망’ 등 외부 조직원 동원
수십개 닉네임 공유 추천수 조작
특정후보 유리한 글 메인으로 이동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대선 당시 ‘유급망·특망’, ‘무급망·협조망’ 등으로 불리는 외부 지원조직과 함께 조직적으로 네이트 등 일부 사이트에서 게시글 찬반 투표를 벌이는 방식으로 포털 메인화면 여론을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국정조사 특위위원인 전해철 민주당 의원은 13일 보도자료를 내어 “국정원 직원들은 외부지원 조직원들과 한 조를 이뤄 작업하면서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글에 추천·반대(찬성·반대) 등을 클릭하는 방식으로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거나, 불리한 글은 밀어내는 방식을 썼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는 국정원 직원들과 ‘유급망·특망’, ‘무급망·협조망’ 등의 외부조력자들이 각자 수십개의 닉네임을 공유하면서 아이피(IP) 프로그램을 사용해 동시다발적으로 다수의 닉네임과 아이피를 이용해 짧은 시간 많은 수의 찬성·반대 횟수를 조작해 메인 화면을 장악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유급망·특망’은 활동비를 받는 외부지원자를 말하며 댓글 조작에 참가하는 인원만 수십명에서 수백명에 달하고, ‘무급망·협조망’은 활동비 없이 활동을 돕는 민간인을 일컬으며 유급망 이상의 규모”라며 “(여론조작) 작업은 국정원 사이버팀 요원 70여명이 (역할을 나눠) 소규모 게시판이나 중소규모 포털사이트는 1인이 맡고, 네이트 등 대형 포털사이트의 경우 여러 명이 투입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전 의원의 주장대로라면 이번 대선 여론조작 및 정치개입 활동에 동원된 민간인 이아무개(42)씨는 ‘유급망·특망’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전 의원은 “드러난 정황만으로도 국정원 사이버팀이 지난 대선 기간 이미 드러난 오유, 뽐뿌 등과 같은 소규모 게시판만 아니라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주요 포털사이트의 메인 화면 장악을 위한 조직적 활동을 전개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이 의혹을 제보받았다면서도, 제보자의 신원에 대해서는 “조직적인 추천·반대 활동에 직접 관계된 사람이다. 신변보호를 위해 구체적 신원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하경준 국정원 대변인은 “전 의원이 주장한 자료의 출처가 어디인지 잘 모르겠다. 우리가 알 수 없는 내용이고, 수사를 받는 상황에서 입장을 밝히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은 서울경찰청 디지털증거분석실 폐회로텔레비전 화면에서 한 분석관이 “초기에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있는 파일을 내려받았을 것”이라며 “아마 위에서 몇 명에게 파일로 줬을 것”이라고 말하는 영상을 추가로 공개했다. 이 의원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직원들이 공유하며 활동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 경찰은 이를 알아채고도 댓글 흔적이 없다는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하며 진실을 은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배당처럼 월급 가져가는 총수들…“오너 연봉, 재무담당 임원만 알아”
■ 국정원, 포털 메인화면 조직적 장악…“대선 여론조작”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화보] 세계육상선수권, 경기보다 재미있는 선수들의 야릇한 표정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배당처럼 월급 가져가는 총수들…“오너 연봉, 재무담당 임원만 알아”
■ 국정원, 포털 메인화면 조직적 장악…“대선 여론조작”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화보] 세계육상선수권, 경기보다 재미있는 선수들의 야릇한 표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